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구성원들의 공감을 바탕으로 하는 협력학습을 통한 상호작용으로 문제를 해결해나가는 구성주의 인식론을 기반으로 한다. 디자인씽킹 프로세스와융합적으로 의견을 나누며 확산 및 발산적 사고를 도출하고 학습자로 하여금 일방적인 지식 전달 교육보다 창의⋅융합적 사고능력과 자기주도성 면에서 더욱능동적이고 주체적인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는 교육프로세스를 제시한다. 연구의 범위와 방법으로는 문제중심학습(Problem Based Learning, PBL)과 디자인씽킹을 활용한 선행연구 논문 11편을 선정하여 분석을진행하였으며, PBL과 디자인씽킹의 개념과 프로세스를 통해 두 프로세스의 이점을 활용한 공통적이고 효율적인 창의⋅융합형 인재 교육 프로세스 모델을 설계한다. 또한 인문계 고등학교 남, 여 학생 30명 및교수자를 대상으로 평가를 진행하였으며, 평가 방법으로는 빈도분석을 통해 디자인씽킹 및 구성주의학습을활용해 수업을 진행했을 때 학습자들의 학습동기 향상, 자기주도적 및 반성적 사고, 협력학습의 소통과상호작용을 통한 아이디어 도출, 프로세스 활용도 및장점 및 약점, 개선점에 대한 선호도 조사를 한다. 따라서 미술 수업에 대한 프로세스 활용이 좋았는지, 창의⋅융합형 사고에 발전이 있었는지를 수업 전과⋅후로 나누어 비교, 분석한다. 본 연구를 통해 미래사회가 요구하는 창의적이고 융합적인 사고로 다양한 문제에 대응하며 창의적인 혁신을 시도하여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창의⋅융합 인재 양성에 기여할것을 기대해본다.


This study shares opinions in fusion with the design thinking process and conducts research on educational processes that enable learners to learn more actively and independently in terms of creativity and convergent thinking skills and self-direction than unilateral knowledge transfer education based on the constructivist epistemology that solves problems through interaction through cooperative learning based on the empathy of members. For the scope and the method, the study was conducted on 30 male and female students and professors in liberal arts high school, and the study intends to design a common and efficient way of creative/convergent talent education process model through utilizing the advantages of both concepts and processes of PBL and design thinking, while analyzing 11 previous studies that uses PBL and design thinking processes. The evaluation method follows a formative evaluation, one of the method of qualitative analysis, which examine learners’ learning motivation improvement, self-directed and reflective thinking, idea generation through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 of cooperative learning, and preferences of process utilization, strengths, weaknesses, and improvements, when the class was conducted using design thinking and constructive learning. It compares and analyze before and after the art class whether the process was applicable and if there was an improvement in creative/convergent thinking. Through this study, we expect to contribute to fostering creative and convergent talents who can create values by responding to various problems and attempting innovation through creative and convergent thinking in the future socie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