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최근 들어, 여러 창의적 문제 해결 방법론에 디지털화가 진행되면서 디자인씽킹 프로세스도 변화를 겪고있다. 이러한 디지털화의 중심에는 생성형 AI의 발전이 중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인공지능 기술이 발전하면서 생성형 AI는 인간의 학습 능력과 지각 능력, 추론 능력이 필요한 분야뿐만이 아니라 창의성의 분야에도 적용되고 있는데. 그 영향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이는 분야 중 하나가 디자인씽킹이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디자인씽킹 수행 과정에 생성형 AI를 도구로 사용할 경우, 어떤 효과가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가상의 공간디자인 프로젝트를 진행하여 디자인씽킹 단계별로 적합한 생성형AI 프로그램을 확인하고 특장점을 파악하였다. 디자인씽킹 프로세스에서 생성형 AI를 사용할 경우, 전반적으로 프로세스의 진행 속도에 영향을 미침을확인했다. 또한 자료 수집을 용이하게 도왔으며, 자료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음을 확인했다. 그리고 아이디어의 실행 과정에서 다양한 아이디어를 제안받았으며, 프로토타입의 조형적 수준을 높일 수 있었다. 그러나 디자인씽킹을 통해 전문적인 결과물을 제작할 경우에는 한계를 보였다. 전문적인 디자인을 위해서는 디자이너의 역할이 중요함을 알 수 있었고, 이런이유로 생성형 AI의 역할이 아직은 보조적인 수준에머물러 있음도 확인했다. 이를 기반으로 디자인씽킹 프로세스에서 디자이너와 생성형 AI의 역할을 분류했을 때, 디자이너는 ‘운영’, ‘공감’, ‘선택’의 역할로, AI는 ‘수집’, ‘분석’, ‘생성’ 의 역할로 구분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AI 시대가 다가올수록 디자인씽킹의 중요성은 더욱 강조될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AI 의 기능이 문제 해결 과정에서 상대와 마주하고 공감하는 역할까지 아직은 할 수 없기 때문이다. 공감은인간만이 할 수 있는 장점인 것이다. 이에 디자인씽킹은 AI와 상호 보완적으로 공존하며 발전할 것으로 예상된다.
The recent digitalization of various creative problem-solving methodologies has led to significant changes in the design thinking process. At the forefront of this digital transformation is the advancement of generative AI, which has had a profound impact. As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progresses, generative AI is being applied to fields that require human learning ability, perception, and reasoning, as well as to the realm of creativity. Design thinking is one of the areas actively embracing this technological influence. This study sought to identify the effects of incorporating generative AI as a tool within the design thinking process. To achieve this, a virtual space design project was conducted to identify suitable generative AI programs for each stage of design thinking and determine their distinctive features. The integration of generative AI into the design thinking process was found to significantly impact its overall speed. It facilitated more efficient data collection and improved data accuracy. Moreover, it offered a diverse range of ideas during the implementation phase and enhanced the sophistication of prototypes. However, limitations were observed when producing professional outcomes through design thinking. It became evident that the designer's role remains crucial for professional design, underscoring that the role of generative AI is still primarily auxiliary. Based on these findings, the roles within the design thinking process were classified as follows: designers were categorized into roles of ‘operation,’ ‘empathy,’ and ‘selection,’ while AI was classified into roles of ‘collection,’ ‘analysis,’ and ‘generation.' This study affirms that the importance of design thinking will be further emphasized as we approach the AI era. Current AI capabilities cannot yet fully replicate the human ability to empathize and engage with others in problem-solving processes. Empathy remains a uniquely human advantage. Consequently, design thinking is expected to coexist and develop complementarily with AI, leveraging the strengths of both human insight and artificial intelligence.
키워드열기/닫기 버튼
Design Thinking, Artificial Intelligence, Space Design, Design Process, Problem Solving Stateg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