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연구배경 및 목적) 언택트 시대가 도래하면서 오프라인의 비대면 공간은 오늘날 주요 공간디자인 수단이 되었으며 리테일 테크가 접목된 공간은 Z세대들에게 온라인의 편의성을 오프라인에 적용하는 주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디지털 네이티브 시대에 사람들은 말과 글보단 이미지와 영상으로 소통하길 원하며 대면보다 비대면을 선호한다. 본 연구는 미래형 리테일 테크 매장 중 하나로 꼽히는 무인매장 공간에 있어서 이미지로 소통하는 방식인 이미지텔링을 주요한 주제로 삼아 무인매장 공간의 특성을 제안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연구를 시작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미지텔링의 다양한 특성을 기반으로 무인매장 공간의 유형과 구성에 따른 특성을 도출한 후 세 브랜드의 무인매장을 사례로 선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방법) 이미지텔링 관련 선행 연구를 통해 이론을 고찰하고 이미지로 소통하여 발생하는 시점에서 작용하는 이미지텔링의 특성들을 다섯 가지로 분류하였다. 발신자와 수신자는 이미지텔링을 통해 상호작용을 주고받으며 의미를 부여하고 이러한 관계가 무인매장에서 무인기기와 고객과의 관계에서 나타난다는 것을 증명한다. 무인매장의 유형을 세 가지로 나누어 구매 프로세스에 따라 공간 구성을 형성하였으며, 이는 무인매장 공간의 특성을 뒷받침한다. 무인매장에서의 이미지텔링 구조를 확립하여 고객의 참여가 발생하고 활성화되는 과정을 보여줌으로써 미래형 매장의 전략적 가치를 제고하고자 한다. (결과) 세 브랜드의 사례 분석 결과 무인매장 유형에 따라 접목된 리테일 테크의 차이가 드러났으며 이는 완전 무인매장이 될수록 다양한 고객 경험이 나타난다는 것을 보여준다. 공간 구성에 따라서는 무인 기기와 고객 체험에 따라 드러나는 이미지텔링의 특성과 공간 특성이 다양하게 발생했으며, 두 특성을 비교 분석한 결과 같은 공간에서는 유사한 특성이 도출됐다. 특히 이미지텔링의 유동성과 이어지는 공간에서의 고객 행동 유동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는 무인매장에 있어서 공간과 이미지에 따른 적합한 무인기기의 사용과 고객에게 의미를 전달하고 적용하는 것이 이미지텔링의 주요한 역할임을 알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는 무인매장 공간의 특성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이미지텔링을 기반으로 구조를 확립하였으며, 국내외 사례 연구를 통해 유형별 리테일 테크 적용 방식과 구성별 공간 특성을 도출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기존 연구들이 무인매장의 기술과 활용성에 집중한 반면, 본 연구는 무인매장에서 접할 수 있는 소통 방식에 대해 이미지텔링을 기반으로 다룬다는 점에서 차별화된다. 기술이 발전하면서 미래의 오프라인 공간은 온라인과 다를 바 없는 새로운 리테일 테크를 계속 접목시켜 진화할 것이며 언택트 리테일 시대에 무인매장 뿐만 아니라 온라인과 이미지텔링을 더한 새로운 오프라인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공간 특성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Background and Purpose) In the age of contactlessness, brick-and-mortar and non-face-to-face spaces have become the primary means of spatial design today, and retail tech-infused spaces play a key role in bringing the convenience from online to offline for Gen Z. In the age of digital natives, people want to communicate through images and videos rather than words and text. This study aims to propose the characteristics of unstaffed store spaces, which are considered future retail tech stores, by focusing on image telling, a way of communicating through images. Based on the various characteristics of image-telling, this study derives the characteristics of unstaffed store spaces according to their type and configuration and selects three brands of unstaffed stores as examples to conduct the study. (Method) This study reviews the literature on image telling and categorizes it into five characteristics. We prove that the sender and receiver interact and give meaning to images through image-telling, and that this relationship is manifes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unmanned machines and customers in unmanned stores. We categorized three types of unstaffed stores and organized the space according to the purchase process, which supports the characteristics of unstaffed store space. By establishing an image-telling structure in unstaffed stores, we demonstrate how customer engagement occurs and is activated, thereby enhancing the strategic value of future stores. (Results) The case analysis of the three brands revealed differences in the retail technology adopted by the type of unstaffed store, showing that different customer experiences emerge as stores become more fully staffed. Depending on the spatial configuration, the image-telling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unmanned devices and customer experiences vary.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two characteristics reveals similar characteristics in the same space. These results suggest that image-telling plays a key role in unstaffed stores by using the right drone for the right space and image and conveying and applying meaning to customers. (Conclusion) This study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unstaffed store spaces in depth, establishes a structure based on image telling, and derives the application of retail technology by type and space characteristics by configuration through domestic and international case studies. While previous studies have focused on the technology and utilization of unstaffed stores, this study differs in that it focuses on the communication methods that can be encountered in unstaffed stores based on image telling. As technology advances, future offline spaces will continue to evolve by incorporating new retail technologies that are no different from online ones. In the era of contactless retail, it is necessary to study spatial characteristics that can provide not only unstaffed stores but also new offline experiences which combine online and image-tell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