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영화 <82년생 김지영>을 페미니즘 지리학의 관점에서 분석하여, 다양한 공간이 여성의 삶과 정체성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페미니즘 지리학은 공간을 단순히 물리적 장소로 보는 것이 아니라, 젠더 권력 구조가 반영되고 재생산되는 중요한 사회적 매개체로 이해한다. 본 논문은 이러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영화 속 여성 주인공 김지영이 경험하는 가정, 직장, 공공장소라는 주요 공간들을 중심으로 공간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먼저, 가정은 전통적으로 여성의 역할이 고정된 사적 공간으로 해석된다. 김지영이 가정 내에서 전업주부로서 겪는 억압과 갈등은 가부장적 사회 구조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이는 여성에게 부여된 희생과 순응의 역할이 어떻게 고착화되고 여성의 자아정체성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보여준다. 이러한 가정 내 역할은 김지영의 자아실현을 제약하며, 여성이 가정이라는 공간에서 경험하는 정체성 상실과심리적 고립을 드러낸다. 직장은 김지영이 공적 영역에서 겪는 성차별과 유리천장 문제를 반영하는 공간이다. 사회적 성공을 위해 공적 공간에서 역할을 수행하지만, 직장에서 여성은 여전히 불평등한 기회와 편견에 직면하게 된다. 본 연구는 여성들이 직업적 성취와 가정 내 역할 사이에서 겪는 갈등을 통해 한국 사회에서 여성이겪는 이중적 압박과 구조적 장벽을 분석한다. 또한, 공공장소는 김지영이 일상에서 느끼는 불편함과 제약을 상징적으로 드러내며, 자신의 목소리를 내기 어려운 사회적 억압의 공간으로 작용한다. 공공장소에서 김지영이겪는 사회적 억압은 여성들이 자신의 존재와 정체성을 드러내는 데 있어 어려움을 느끼게 하고, 이는 한국 사회가 여성의 사회적 위치와 역할에 대해 가진 고정관념을 반영한다. 본 논문은 영화 속 김지영이 거치는 다양한 공간들이 여성의 경험과 권력관계를 형성하고 드러내는 방식을 심도 있게 분석함으로써, 한국 사회에서 여성의 위치와 젠더 역할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한국 사회가 지닌 성별 권력 구조와여성의 공간적 경험에 대한 이해를 심화하고, 여성의 자아실현을 방해하는 구조적 제약을 재고할 필요성을 논의한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film <Kim Ji-young, Born 1982> from the perspective of feminist ge ography, focusing on how various spaces affect women’s lives and identities. Feminist geography un derstands space not merely as a physical location but as a crucial social medium where gendered power structures are reflected and reproduced. Based on this theoretical framework, the paper con ducts a spatial analysis centered on the main spaces that the female protagonist Kim Ji-young experi ences—home, workplace, and public spaces. Firstly, the home is interpreted as a private space where traditional female roles are fixed. Kim Ji-young’s oppression and conflicts as a full-time housewife within the domestic sphere are closely tied to the patriarchal social structure, illustrating how roles of sacrifice and compliance assigned to women become ingrained and impact female identity. This domestic role constrains Kim Ji-young’s self-realiza tion and reveals the identity loss and psychological isolation women experience within the home. The workplace reflects the gender discrimination and glass ceiling issues Kim Ji-young faces in the public domain. While she pursues social success within this public space, she continues to confront un equal opportunities and prejudices. This study analyzes the dual pressures and structural barriers women face in South Korea through the conflicts between professional achievement and domestic roles. Moreover, public spaces symbolically reveal Kim Ji-young’s discomfort and restrictions in daily life, functioning as spaces of social oppression where it is challenging for her to express herself. The so cial oppression she encounters in public spaces makes it difficult for women to manifest their pres ence and identity, reflecting the fixed societal perceptions of women’s roles and social positions in South Korea. By examining how different spaces in the film shape and reveal women’s experiences and power relations, this paper offers a critical perspective on women’s position and gender roles in South Korean society. This study deepens the understanding of gendered power structures and women’s spatial experiences in South Korea, arguing for a reconsideration of the structural constraints that hinder women’s self-realization.
키워드열기/닫기 버튼
Feminist Geography, Space, Woman, Gender, Author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