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다문화 청소년 지원 사업 중 후기청소년까지 수혜 대상을 포괄한 다톡다톡 프로젝트를 다차원 정책분석모델을 통해 분석하였다. 다톡다톡 프로젝트는 이주배경청소년을 대상으로 하여 사회적응과 정서적 안정을 돕기 위해 2013년부터 2020년까지 운영된 민간 주도의 상담 및 심리치유 프로그램으로, 후기 청소년까지 포괄하여 다양한 연령대의 다문화 청소년에게 지원을 제공한 국내 유일의 사례이다. 본 연구는 규범적, 구조적, 구성적, 기술적 차원의 네 가지 분석틀을 통해 다톡다톡 프로젝트의 정책적 가치와 목표, 제도적 구조와 집행 과정, 주요 이해관계자 간의 상호작용, 그리고 실행 결과와 성과를 종합적으로 평가하였다. 규범적 차원에서는 프로젝트의 지향점과 다문화 청소년의 안정적 사회정착을 위한 가치가 강조되었으며, 구조적 차원에서는 민간과 공공의 협력을 통한 정책 추진 체계와 그 과정에서 나타난 한계가 분석되었다. 구성적 차원에서는 청소년과 지역사회, 정부 기관 간의 상호작용이 프로젝트의 중요한 구성 요소로 확인되었고, 기술적 차원에서는 심리적 지원과 직업훈련 등의 실질적 성과가 다톡다톡 프로그램의 효과를 뒷받침했다. 연구 결과는 다톡다톡 프로젝트가 다문화 청소년, 특히 후기 청소년을 위한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지원이 이루어질 필요성을 시사한다.


This study analyzes the DaTalk DaTalk Project (2013-2020), a privately led counseling and psychological support program for migrant-background youth, using a multidimensional policy analysis model. The project uniquely provided support to multicultural youth to aid their social adaptation and emotional stability. The analysis applies four dimensions-normative, structural, constitutive, and technical-to evaluate the project’s policy values and objectives, institutional frameworks, stakeholder interactions, and practical outcomes. The normative dimension highlights the project’s commitment to fostering social integration, while the structural dimension explores the strengths and challenges of a public-private collaboration model. The constitutive dimension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interactions between youth, local communities, and government agencies, and the technical dimension demonstrates the effectiveness of psychological support and vocational training. The findings suggest the project’s significance as a model for supporting multicultural youth and highlight the pressing need for systematic policies for late adolesc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