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This study analyzed the competitiveness of ‘Culture Think Co., Ltd.’, a concert planning startup founded in 2014, using the VRIO model. The research employed qualitative analysis based on secondary data. Key findings revealed that Culture Think's value creation stems from market diversification through RAPBEAT Festival, flexible artist support via AFS, and a long-tail strategy with Pooee. The company's rare resources include festival management expertise, a unique AFS model, extensive industry networks, and strong brand value. Inimitability factors include time compression diseconomies, historical uniqueness, and network effects. Organizationally, Culture Think benefits from a flexible structure, balanced creative and data-driven culture, open communication, and a growth mindset.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suggests integrated value chain management, balancing data and creativity and building global networks as future directions for the Korean music industry.
본 연구는 공연 기획 스타트업인 컬쳐띵크(주)의 경쟁력을 VRIO 모델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2차 자료를 활용한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가치' 측면에서는 랩비트 페스티벌을 통한 음악 시장의 다양성 확대와 글로벌화, AFS를 통한 유연한 아티스트 지원 모델, 유통 서비스 푸이의 롱테일 전략이 주요 가치 창출 요소로 확인되었다. '희소성' 측면에서는 축적된 페스티벌 운영 노하우 및 AFS의 독특한 비즈니스 모델, 광범위한 업계 네트워크와 '랩비트' 브랜드 가치가 경쟁사가 쉽게 획득하기 어려운 자원으로 평가되었다. '모방 불가능성' 측면에서는 시간 압축성의 비경제적 효과와 경험에 따른 역사적 고유성과 사회적 복잡성 그리고 광범위한 네트워크 효과 등이 핵심 역량으로 분석되었다. '조직' 측면에서는 유연한 매트릭스 구조, '창의적 실험'과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 문화의 공존, '열린 소통'과 '수평적 관계' 강조, 지속적 학습과 성장 마인드셋이 자원과 역량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데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음악 산업의 가치 사슬 통합 관리,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과 창의적 실험의 균형, 글로벌 네트워크 구축, 기술 혁신 대응 능력 강화 등을 향후 국내 음악 산업의 발전 방향으로 제시하였다.
키워드열기/닫기 버튼
VRIO모델, 공연기획스타트업, 음악산업, 랩비트페스티벌, 아티스트풀필먼트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