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인공지능 퍼포먼스는 기존의 예술적 경험을 넘어서 새로운 형태의 미적 경험을 제공한다. 관객들은 인공지능과 상호작용하면서 퍼포먼스의 일부가 되거나, 인공지능의 창작 과정에 직접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된다. 이러한 새로운 미적 경험은 기존의 예술 감상 방식과는 다른 차원을 열어주며, 관객들이 퍼포먼스를 경험하는 방식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키는 가능성으로 존재한다. 따라서 인공지능 퍼포먼스로 대표되는 새로운 예술을 받아들이고 그 지평을 확장하기 위해서는 거기세어 파생되는 새로운 미학적 경험을 분명하게 지시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고에서는 인공지능 퍼포먼스에서 발견되는 미학적 경험을 해석하려는 목적 아래 퍼포먼스를 이해하려는 이론적 시도인 현존과 아우라 개념으로 새로운 예술 형식을 논하고자 한다. 인공지능 퍼포먼스는 퍼포먼스 미학과 매체 미학으로 모두 접근이 가능하므로, 이를 모두 유연하게 수용하는 시각이 필요하다. 따라서 먼저 물질성 기반의 현존과 미디어 기반의 원격현존 개념을 살펴보고, 인공지능 퍼포먼스에서 발견되는 혼성적 현존을 간략히 살펴볼 것이다. 이후 퍼포먼스 미학에서의 아우라와 매체 미학에서의 아우라를 각각 살펴보고 인공지능 퍼포먼스에 나타나는 혼성적 아우라를 논할 것이다.


Artificial intelligence(AI) performances transcend traditional artistic experiences, offering new forms of aesthetic encounters. Audiences can interact with AI, becoming part of the performance or actively participating in the creative process. This novel aesthetic experience opens dimensions distinct from conventional art appreciation methods, holding the potential to fundamentally transform how audiences engage with performances. Therefore, to embrace and expand the horizons of new art forms such as AI performances, it is crucial to clearly articulate the new aesthetic experiences they generate. In this context, this paper seeks to interpret the aesthetic experiences found in AI performances by discussing new artistic forms through the theoretical concepts of presence and aura. Since AI performances can be approached through both performance aesthetics and media aesthetics, a flexible perspective that incorporates both approaches is necessary. Thus, this paper will first examine the concept of material-based presence and media-based telepresence, followed by a brief exploration of the hybrid presence evident in AI performances. Subsequently, it will discuss aura in performance aesthetics and aura in media aesthetics, concluding with an analysis of the hybrid aura present in AI performa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