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2025년부터 연차 적용을 앞둔 중학교 2022 개정 국가교육과정에 대한 후속 연구가 진행되며 국제학업성취도 결과와 교육과정을 연계하는 방안에 대한 연구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글로벌 교육 의제의 실천과 필요성에 대해서는 공감하면서도 구체적으로 세계시민의식과 글로벌 역량 개념을 총론 차원에서 다루고 평가의 결과를 바탕으로 내용을 체계화하는 데에는 소극적인 경향이 있었다. 이에 글로벌 역량 평가를 통한 세계시민교육 내용 요소 도출을 위해 PISA 2018 글로벌 역량평가의 분석 결과를 근거로 주요 역량 요소를 파악하였다. 이를 위하여 PISA 2018 글로벌 역량의 한국 학생 수준 데이터를 활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분석하고 세계시민교육이 글로벌 이슈 관련 학생의 주체성을 매개로 글로벌 역량에 미치는 효과성 우위의 하위요소를 주요 변인으로 선정하였다.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세계시민교육에 의한 효과성이 높은 ‘인지적 적응능력’, ‘타 문화 학습에 대한 관심’, ‘글로벌 이슈에 대한 인식’의 글로벌 역량 3개 하위 지표를 주요 역량 요소로 선정하여 변혁적 수준 이상의 통합을 위한 내용 요소 구성방안을 제시하였다.
Ahead of introduction of revised 2022 National Curriculum for middle schools in 2025, research has been actively investigating how to align international academic achievement results with the curriculum. While agreeing on the necessity of implementing the global education agenda, there was a tendency to be passive in dealing with the concepts of global citizenship and global competency at a general level and in systematizing the content based on the results of assessments. The research draws from the PISA 2018 global competence assessment, specifically selecting key elements related to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GCED). To analyze the impact of GCED on global competenc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applied to student-level data from Republic of Korea(ROK)'s PISA 2018 assessment. The study explored the mediating effect of students’ agency regarding global issues, examining how GCED influences sub-elements of global competence. The analysis revealed three global competences that were most strongly associated with effective GCED practices: cognitive adaptability, interest in learning about other cultures, and awareness of global issues. These competences were selected as major elements for organizing content elements for the integrated curriculum beyond the transformative level.
키워드열기/닫기 버튼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OECD PISA 2018 Global Competence Assessment, Students’ agency regarding global issues, Middle schools National curriculum, transformative integrated curricul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