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비교음악학 연구로서 사실상 마지막 연구자였던 김진균의 민요론을 검토한 것이다. 김진균은 1963년에 여러 분과학적 시각과 연구 방법을 수용하고 북한에서 수집된 한국 민요 322곡을 분석ㆍ종합하여 민속적 현상의 하나로서 중국 및 일본과 구별되는 한국 민요의 음악 구조적 특성을 민요권 이론으로 구체화시켜 제시했다. 이것은 최초로 민요권 이론을 정교하게 제시한 것이기 때문에 한국음악 연구사에서 주목된다 할 것이다. 김진균이 학위논문을 작성하던 당시 북한은 민요권을 억양론으로 접근하고 있었지만, 최종적인 대안을 제시하지는 않았던 상황이었고, 남한에서는 이혜구의 짧지만 통찰력 있는 시론, 즉 토리(idiom)론에 대한 직관적 이해가 있었을 뿐이었다. 그런데 민요권에 대한 이혜구의 직관적 통찰은 공교롭게 김진균의 결과와 일치하고 있다. 그러나 김진균은 자신의 결과에 대해 이혜구의 영향을 거론하지 않기 때문에, 현재로서는 김진균이 한국 민요권을 제시하는데 직접적인 참고가 된 것은 계정식의 연구였다고 할 수 있다. 김진균은 계정식의 분석적 시각과 방법 및 결과를 적극적으로 수용하되 보다 체계화했으며, 또 비교음악학적 논증과 비평 그리고 대안의 제시에서 계정식보다 발전된 결과를 내놓을 수 있었을 뿐만 아니라 이를 근거로 쿠르트 작스나 로렌스 피큰과 같은 서방의 학자들의 오류도 수정할 수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김진균의 연구 방법과 성과는 이후 민요 연구자들에게 영향을 끼치지 못했다. 김진균은 비교음악학이라는 분과학을 시작하고 주도했던 베를린 학파의 그것을 충실히 따랐기 때문에, 현장 연구(Field Research)를 중시하는 민요학자들에게 그의 연구가 수용될 수 없었다. 또한 그의 음악 분석의 절차가 매우 정교함에도 불구하고 한국음악학 1세대 연구자들부터 이미 음악 분석 연구 방법은 음악학 연구의 중심에 있었기 때문에 그의 연구를 반드시 참고하지 않아도 무방했다. 또한, 김진균은 민요와 관련된 학술 교류의 장에 참여하지 않음으로써 후학들과의 소통에 있어서 어려움이 있었다. 그러나 그의 박사논문은 1963년 당시 가장 체계적으로 한국민요를 음악학ㆍ민속학적 시각으로 다뤘던 성과였고, 최초로 일관성 있는 논리로 민요권을 제시했던 사례로 인정되어야 할 것이며, 또 이를 근거로 서구의 음악학자들이 한국 민요에 다룰 때 범했던 오류를 수정했다는 점 역시 주목되어야 할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the theory of folk songs by Jin-kyun Kim, who was effectively the last researcher of comparative musicology from the Berlin School. From 1963 to 1970, Kim adopted various interdisciplinary perspectives and research methods to study Korean folk songs, analyzing and synthesizing 322 songs collected from North Korea. He identified and articulated structural musical characteristics unique to Korean folk songs, distinguishing them from Chinese and Japanese folk traditions and presenting these characteristics as a concept he called “Cultural sphere of Korean Folksong.” This was the first time the theory of folk song zones was articulated so systematically, marking a significant point in Korean musicology. At the time Kim was working on his dissertation, North Korea approached folk song zones through intonation theory but did not present a conclusive alternative. Meanwhile, in South Korea, there was only a brief yet insightful attempt at theorizing folk song idioms by Lee Hye-gu, based on intuitive understanding. Coincidentally, Lee's intuitive insights into folk song zones aligned with Kim's results. However, since Kim did not acknowledge any influence from Lee, it is presumed that he was instead directly influenced by the research of Chung-Sik Keh. Kim actively adopted and systematized Keh’s analytical perspective, methods, and findings, further advancing comparative musicological arguments, critique, and proposals beyond Keh's achievements, which allowed him to correct errors found in the work of Western scholars like Curt Sachs and Laurence Picken. Despite these contributions, Kim’s methodologies and findings did not significantly impact subsequent folk song researchers. This lack of influence stemmed from his adherence to the Berlin School’s approach, which initiated and led the field of comparative musicology. This approach did not align with the emphasis on field research by folk song scholars. Furthermore, although his analysis procedures were highly sophisticated, Korean musicological research had already placed music analysis at its core since the first generation of scholars, making direct reference to Kim’s work less essential. Additionally, Kim’s lack of participation in academic exchanges related to folk song studies led to challenges in communicating with later researchers. Nevertheless, his dissertation in 1963 represents the most systematic approach to Korean folk songs from both musicological and ethnological perspectives at the time. It should be recognized as the first case that consistently and logically proposed the concept of folk song zones. Moreover, his work is notable for correcting misconceptions among Western-centered musicologists regarding Korean folk songs.
키워드열기/닫기 버튼
Jin-kyun Kim, Cultural Sphere of Korean Folksong, Comparative Musicology, Berlin School, Chung-Sik Ke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