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에서는 신중국 건국 직후였던 1950년에 상영된 영화 <자오이만>의 서사적 특징과 그 속에 반영된 사회주의 여성 이데올로기의 내용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이를 통해 본 고에서는 신중국 초기 제작된 영화들이 표면적으로는 ‘항일’, ‘항미’, ‘반국민당’, ‘반제국주의’, ‘반봉건주의’와 같은 사상을 반영하고 있지만, 그 이면에는 새로운 사회 이데올로기의 반영과 이에 대한 적극적인 선전의 목적을 가지고 있음을 밝히고자 했다. 무엇보다 <자오이만>은 항일 영웅의 일대기를 다루는 여타 영화들과 마찬가지로 그 내용이나 목적이 상당히 교조적이라는 이유로 인해 또 다른 해석의 가능성은 고려되지 않았다. 그러나 당시 중국의 영화 제작 현황 속에서 여성 인물들의 적극적인 등장과 이들의 ‘남성화’는 분명히 주목할 만한 특징임이 분명하다. 이러한 의미에서 <자오이만>의 서사 구조와 제작 배경에 대한 전반적인 고찰은 향후 여성 영웅을 주인공으로 하는 중국 선전영화 제작이 의미하는 바를 밝히는 데 있어 중요한 실마리를 제공할 수 있다.


This paper attempts to analyze the narrative characteristics of the film Zhao Yiman, released in 1950 shortly after the founding of China, and the content of socialist female ideology reflected within it. Through this analysis, the study aims to reveal that while films produced in the early days of China superficially reflect ideologies such as ‘anti-Japanese, anti-American, anti-Kuomintang, anti-imperialism’, and ‘anti-feudalism,' they also have an underlying purpose of reflecting and actively promoting new social ideologies. Above all, Zhao Yiman, like other films dealing with the biography of anti-Japanese heroes, has not been considered for alternative interpretations due to its seemingly dogmatic content and purpose. However, within the context of Chinese film production at the time, the active emergence of female characters and their ‘masculinization' is undoubtedly a noteworthy characteristic. In this sense, a comprehensive examination of the narrative structure and production background of Zhao Yiman can provide important clues in elucidating the significance of future Chinese propaganda film production featuring female heroes as protagoni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