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사회적 자본에 관한 ICT의 영향에 관한 긍정론과 부정론의 주장을 토대로ICT가 사회적 자본에 긍정적 또는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기 위하여 세계145개 국가를 대상으로 수집된 2차 자료를 통해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실증분석을위한 분석모형에 ICT는 보편연결지수와 의미연결지수 그리고 이 두 가지 지수를 종합한 결과를 설정하였으며, 이에 대한 종속변수로 사회적 자본의 5개 구성지표와 이 5개지표를 종합한 결과를 구성 변수로 설정하였다. 인과분석의 결과는 전체적으로 ICT가사회적 자본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지만, 세부적으로는 국가가 속한 그룹에 따라 그리고ICT의 보편연결지수와 의미연결지수에 따라 사회적 자본의 세부 내용에 미치는 영향여부가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ICT를 통한 사회적 자본을 확충하기 위한 정책적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ICT를 통해 사회적 포용성을 제고할 수 있는 정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둘째, 소셜 미디어와 플랫폼을 활용하여 사람들 간의 연결을 촉진하고, 지역사회나 관심사에 참여하고 협력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야 한다. 셋째, 온라인 시민참여와 시민토론방 등 정책참여 플랫폼을 개설하여 시민들이 공동의 문제에 대해 의견을제시하고 해결책을 논의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여야 한다. 넷째, 디지털 소외 계층을고려하여 오프라인 및 온라인 교육 플랫폼 병행을 통해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사회적 참여를 이끌어야 한다. 다섯째, 온라인 기제를 통해 공동의 문제에 대한 참여와 논의 과정은 개방성과 다양성이 전제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conducted an empirical analysis on the impact of ICT on social capital at the national level. In the analysis model, ICT was set as a universal connectivity index, a meaningful connectivity Index, and a result that synthesized these two indices, and the five component indices of social capital and the result that synthesized these five indices were set as component variables.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overall, ICT has a positive effect on social capital, but in detail, the effect on the composition index of social capital differs depending on the group to which the country belongs and the composition index of ICT. The policy proposals are as follows. First, policies should be established to enhance social inclusion through ICT. Second, online platforms should be utilized to promote connections between people and provide opportunities to participate and cooperate in local communities or interests. Third, online policy participation platforms should be established to provide opportunities for citizens to express their opinions on common issues and discuss solutions. Fourth,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should be provided, and social participation should be encouraged through offline and online educational platforms. Fifth, online participation and discussion processes should be premised on openness and diversity
키워드열기/닫기 버튼
ICT, Social Capital, IT Poli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