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학술지 󰡔동화와번역󰡕에 게재된 2005년부터 2024년까지 총 444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연구 동향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 아동문학과 번역학을 연결하는 주요 학술지로서, 󰡔동화와번역󰡕은 2005년 등재후보지로 시작하여 2008년 등재 학술지로 승격되며 학문적 영향력을 확장해 왔다. 본 연구는 저자 분석, 주제적 범위, 주제어의 변화를 포함한 양적 및 질적 변화를 4개 시기로 나누어 조명하였다. 양적 분석 결과, 학술지의 연간 게재 논문 수는 등재 이후 꾸준히 증가하여 연 평균 20편 이상을 기록하였다. 저자 동향 분석에서는 단독 연구 비율(90.99%)이 높게 나타났으나, 공동 연구가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질적 분석 결과, 아동문학이 전체 논문의 72.7%를 차지하며 주요 연구 분야로 자리 잡고 있었고, 번역학은 6.1%, 혼합 연구는 3.0%로 분석되었다. 연구 주제는 동화, 그림책, 청소년 소설 등으로 구성되었으며, 최근에는 디지털 미디어 및 치유와 정체성 같은 사회문화적 주제로 관심이 확대되는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는 『동화와번역』의 학문적 기여를 조명하며, 연구 주제의 다양화, 학제 간 협력, 국제적 학술 교류의 확대를 위한 기회를 제안한다. 향후 연구 방향으로 디지털 스토리텔링, 다문화 번역, 아동문학이 글로벌 문제를 해결하는 역할을 탐구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systematically analyzes research trends in the academic journal Children’s Literature and Translation Studies, covering 444 articles published from 2005 to 2024. As a key publication bridging fairy tale literature and translation studies, the journal has expanded its academic impact since its inception as a candidate journal in 2005 and accreditation in 2008. The analysis focuses on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changes across four phases, revealing significant insights into authorship, thematic scope, and keyword evolution. Quantitative analysis reveals a steady increase in published articles, averaging over ten per year since the journal’s accreditation. Authorship trends indicate a predominance of single-author studies (90.99%), with gradual growth in collaborative research. The majority of contributors are affiliated with domestic institutions, particularly Konkuk University, reflecting the journal's institutional ties. Qualitative findings reveal that 72.7% of articles focus on children’s literature, with translation studies addressing 6.1% and mixed studies at 3.0%. The journal’s primary subjects include fairy tales, picture books, and adolescent fiction, with emerging attention to digital media and socio-cultural themes such as healing and identity. This study highlights the journal’s academic contributions and identifies opportunities for diversification in research topics, interdisciplinary collaboration, and expanded engagement with international scholars. Future directions include exploring digital storytelling, multicultural translation, and the role of children’s literature in addressing global challen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