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한국공군 무기체계의 자원 최적화를 위한 TLCSM(총수명주기체계관리)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2024년 현재 대한민국의 국방 예산은 제한된 국가 재정 상황 속에서도 운영유지 비용 절감과 전투준비태세 강화를 위한 국방 경영혁신을 필수 과제로 삼고 있다. TLCSM은 무기체계의 전 수명주기 동안 획득과 운영유지 단계를 통합 관리함으로써 TOC(총소유비용)을 최소화하고 효율적 자원 배분을 실현할 수 있는 전략적 체계이다. 연구에서는 한국공군의 TLCSM 적용 현황과 주요 문제점을 조직 운영과 전문성 강화, 군수지원체계, 정보체계 관리, 수명주기 비용 분석의 네 가지 측면에서 분석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실효성 있는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사업관리자의 전문성 확보와 교육체계 강화, PBL(성과기반군수) 및 DMSMS(단종부품) 관리체계의 효율적 운영 방안을 제시하며, 통합 정보체계 개선과 자동화된 비용 산출 시스템 도입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이와 함께, 총수명주기 비용 분석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한 빅데이터 기반 구축과 비용예측체계 개선을 제안한다. 본 연구는 국방 예산의 효율적 운용과 군의 전투준비태세를 유지하는 데 기여할 수 있는 중요한 프레임워크를 제공하며, 한국공군의 무기체계 획득 및 유지 전략 수립에 의미 있는 기초 자료가 될 것이다.


This study focuses on proposing advancement strategies for the implementation of Total Life Cycle System Management (TLCSM) to enhance defense resource efficiency within the Republic of Korea Air Force (ROKAF). As of 2024, Korea’s defense budget demands effective management to balance limited national finances with operational cost reductions and optimized combat readiness. TLCSM offers a strategic framework that enables integrated management across the entire life cycle of weapons systems—from acquisition to sustainment—aiming to minimize Total Ownership Cost (TOC) and achieve efficient resource allocation. This research examines the current state and challenges of TLCSM application within ROKAF from four perspectives: organizational management and specialization, logistics support, information system management, and life cycle cost (LCC) analysis. Key recommendations include enhancing the expertise of program managers through specialized training, improving the effectiveness of Performance-Based Logistics (PBL) and Diminishing Manufacturing Sources and Material Shortages (DMSMS) management, and introducing advanced data integration and automated cost calculation systems. The study also highlights the need for a big-data infrastructure to improve LCC accuracy and optimize cost prediction models. The proposed framework offers significant contributions to the efficient allocation of defense resources and sustainable combat readiness within ROKAF, establishing foundational strategies for weapon system acquisition and sustainment plan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