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보고에서는 심부 균열암반 현지 수리특성 도출결과의 정밀도 향상을 위한 도함수 진단 분석 방법의 개념과 적용 사례들을 수록하였다. 일반적으로 현장 수리시험을 통해 획득한 유량/압력 변화 곡선과 그 원시 자료의 변화율인 도함수 곡선을 적합한 해석모델의 표준곡선에 동시에 매칭하는 방식을 통해 암반 의 대표 수리특성인 수리전도도값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도함수 분석을 활용해 시간 경과에 따른 원시 유량/압력 변화 곡선에서는 확인하기 어려운 시험 초반의 수리반응과 이후 흐름 양상의 변환 및 원계 영 역의 수리경계 효과도 판별이 가능하다. 이러한 도함수 진단 분석 방법의 효과적인 사용은 최적의 해석 모델 선정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현장 수리시험을 통한 균열암반 수리특성 평가의 신뢰도 제고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report presents the concept and application cases of derivative diagnostic analysis methods aimed at improving the precision of hydraulic properties evaluation results in deep fractured rock. Hydraulic conductivity, a representative hydraulic property of rock, can typically be determined by matching both the flow rate/drawdown curve obtained from field hydraulic tests and its derivative curve representing the rate of change of drawdown with the standard curves of an appropriate analytical model. Moreover, derivative analysis facilitates the identification of early hydraulic responses, flow regime transitions, and hydraulic boundary effects within the domain, which are often difficult to discern from conventional flow rate/drawdown curves over time. The effective application of derivative diagnostic analysis enhances the selection of optimal analytical models, thereby contributing to greater reliability in evaluating hydraulic properties of fractured rock through field hydraulic te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