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미세플라스틱은 최근 중요한 환경오염 물질로 부상하고 있으며 특히 대수층 내에서의 존재는 생태계와인체 건강에 잠재적인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본 고찰에서는 대수층 내에서 미세플라스틱의 이동 기작에 대한 현재의 이해를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상호작용을 포함하여 살펴보았다. 공극 크기, 투수성, 지화학적 조건과 같은 대수층의 특성이 미세플라스틱 이동성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토하고, 대수층 내 미세플라스틱 축적에 기여하는 다양한 요인과 지하수 수질 및 수생 생태계에 미치는 잠재적 영향을 평가하였다. 또한 대수층에서 미세플라스틱 이동을 예측하는 기존 모델들을 살펴보고, 현재 방법론(접근법)의 한계와 향후 과제를 논의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고찰은 현재 연구의 격차를 살펴보고 미세플라스틱 오염으로부터 지하수 자원을 보호하기 위한 향후 연구와 정책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Microplastics (MPs) are significant environmental contaminants. Their presence in groundwater systems, particularly aquifers, poses potential risks to ecosystems and human health. This review explores the current understanding of MPs transport mechanisms within aquifers, including their physical, chemical, and biological interactions. It examines the influences of an aquifer’s characte ristics (e.g., porosity, permeability, and geochemical conditions) on the mobility of MPs. The review also assesses the factors contributing to the accumulation of MPs in aquifers and discusses their potential impacts on groundwater quality and aquatic ecosystems. Existing models of MP transport in aquifers are analyzed, and the challenges and limitations of current approaches are discussed. Finally, the review highlights research gaps and offers recommendations for future studies and policy mea sures aimed at protecting groundwater resources from contamination by MP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