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에서는 문학 장르 가사가 신분, 지역, 젠더의 차이를 넘어 가장 보편적인 말하기, 글쓰기 방식으로 채택될 수 있었던 요인을 가사의 장르 수행 방식에서 찾고, 가사문학이 공동체를 매개하거나 구현해 온 양상을 밝히려 한다. 여기에서 장르 수행 방식이란 특정 장르의 향유를 둘러싼 일체의 실천과 그로 인해 발생하는 담론적 효과를 의미한다는 점을 밝혀 둔다. 가사는 구연에 의한 경험과 기억의 공유, 쓰기를 통한 전파와 확산이 교차하면서 시간과 장소의 제한 없이 재현과 향유가 가능하다는 강점을 지니고 있다. 이는 가사문학의 수용에서 소통력의 확산과 공동체적 향유를 담보하는 주요한 요인이라 할 수 있다. 공동체를 매개하는 가사의 소구력은 대화를 지향하는 가사의 담화방식에서부터 구현된다. 이는 가사의 서두에 청중을 호명하는 다양한 명명 방식에서부터 확인된다. 가사의 상투화된 패턴은 일방적, 하방적 담화를 넘어 경험과 가치의 공유라는 효과를 만들어낸다. 이렇듯 구연 현장과 물질로서의 텍스트가 연쇄적으로 공유되면서 가사는 상이한 주체 간의 연결과 결속, 타인에 대한 이해와 힘돋우기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었다. 이렇듯 가사는 나의 진술에서 시작하여, 발화자와 청중을 동류, 동포라는 집합적 주체로 확장하면서 일체감을 조성하고, 집합적 주체를 재현할 수 었다. 가사문학의 이러한 장르 수행력은 근대 국민국가 건설기에 ‘국가’라는 미지의 공동체를 상상하는 주요 기제로 기능하기도 하였다.


In this study, the factors that enabled the Kasa as a literary genre to led to its adoption as the most common speaking and writing method ​​beyond differences in status, region, and gender are found in the way the genre is performed, and the ways in which Kasa mediates or embodies the community are sought to be revealed. Here, we clarify that performativity method refers to all practices surrounding the enjoyment of a specific genre and the discursive effects that arise from it. Kasa have the strength of being able to be reproduced and enjoyed without restrictions of time and place through the intersection of reproduction and sharing of experiences and memories through oral storytelling, and propagation and diffusion through writing. This can be said to be a major factor that ensures the spread of the communication power of Kasa and their communal enjoyment. The appeal of Kasa that mediate the community is realized through the discourse style of lyrics that aims for dialogue. This can be confirmed from the various naming methods used to address the audience at the beginning of the Kasa. Stereotypical patterns create the effect of sharing experiences and values ​​beyond one-sided, downward discourse. In this way, as the performong scene and the text as material were shared in a chain, the Kasa were able to effectively connect and bond between different subjects, and understand and empower others. In this way, the Kasa were able to create a sense of unity and reproduce the collective subject by starting from my statement and expanding the speaker and the audience into a collective subject of peers and compatrio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