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초등학생의 치아우식 유병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구강 건강 증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경기도 소재 1개 초등학교 6학년 학생 189명을 대상으로 학교 구강검진 결과와 학교 건강검사의 건강조사를 위해 실시한 건강 상태 기초조사의 식이 행태, 구강건강 행태 문항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성별, 구강위생, 식이 행태 및 아침 식사 여부가 치아우식 유병률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구강위생은 치아우식의 주요 예측 요인으로 확인되었으며, 불량한 구강위생이 치아우식 발생 위험을 높이는 중요한 요인임을 시사하였다. 성별에 따른 치아우식 발생 차이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은 유병률을 보여, 성별에 따른 맞춤형 구강 관리 교육이 필요하다. 또한 라면, 채소 등의 섭취 빈도와 아침 식사의 빈도가 치아우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전반적인 식이 관리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였을 때 구강건강 증진을 위하여 구강위생 상태 개선을 위해 식생활 교육을 포함한 체계적인 구강 건강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analyzed factors affecting the prevalence of dental carie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provide basic data for promoting oral health. The results of the school oral examination and the basic health status survey conducted for the health survey of the school health examination were analyzed for 189 sixth grade students in one elementary school in Gyeonggi Province.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gender, oral hygiene, dietary behavior, and breakfast intake significantly affected the prevalence of dental caries. In particular, oral hygiene was identified as a major predictor of dental caries, suggesting that poor oral hygiene is an important factor that increases the risk of dental caries. The difference in dental caries incidence by gender showed that female students had a higher prevalence than male students, so customized oral care education by gender is necessary. In addition, the frequency of consuming ramen, vegetables, etc. and the frequency of breakfast intake were found to affect dental caries, suggesting that education on overall dietary management is necessary. In summary of the above results, it is believed that a systematic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 including dietary education is necessary to improve oral hygiene and promote oral heal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