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2022학년도부터 2025학년도(4개년도)까지의 공립 유치원 교사 임용시험‘교직논술’ 문제의 핵심어와 그 핵심어들 간의 언어네트워크 특성을 분석하여 제시하는 것이다. 본연구의 연구방법론은 ‘텍스트 마이닝 기법’과 ‘언어네트워크 분석방법’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13~2021학년도의 핵심어들은 부모, 유치원, 유아, 상담, 교육, 대화 등이었고, 2022~2025학년도의 핵심어는 교사, 유아, 놀이, 부모, 교육과정, 교육실습생, 유치원, 어려움, 현장실습 등이 나타났다. 둘째, 2022~2025학년도(4개년도) 교직논술의 핵심어 전체 텍스트 네트워크는 중간 이상의 밀도(0.586)을 가진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었다. 연결정도 중심성(값)이 높은 핵심어로는 유아, 교사, 놀이, 부모, 유치원, 교육실습, 현장실습, 교육과정, 어려움, 발달 등의 순서로 나타났다. 매개 중심성(값)이 높은 핵심어는 교사, 놀이, 유치원, 유아, 교육과정, 어려움, 근거,지원, 부모 등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치원 교사 교원양성기관, 유치원 교육 지원 교육행정기관, 예비 유치원 교사들에게 의미 있는 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해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keywords & the semantic network ofthe public kindergarten teacher appointment test ‘teaching essay’ problem from 2022~2025(4years). The main research methodology used ‘text mining technique’ and ‘semanticnetwork analysis metho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keywords for the2013~2021 years were parents, kindergarten, infants, counseling, education, and dialogue, andthe keywords for the 2022~2025 years were teachers, infants, play, parents, curriculum,educational trainees, kindergarten, difficulties.fiels training. Second, the entire text network ofkeywords for the 2022~2025(4years) teaching essay formed a network with an density(0.586). Keywords with high degree centrality(value) were found in the order of infant, teacher, play,parent, kindergarten, educational practice, educational practice, curriculum, difficulty, anddevelopment. Keywords with high betweenness centrality (value) were identified as teachers,play, kindergartens, infants, curriculum, difficulties, evidence, support, and par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