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동일한 계획 절차를 따르는 두 초등학교를 비교함으로써, 이 연구는 교육 계획이 학교의 특성에 따라 어떻게 차별화될 수 있는지 살펴보았습니다. 소외된 도시 지역과 자연 친화적인 교외 지역의 교육 계획 산출물을 분석한 결과, 지역적 맥락과 학생 특성이 교육 계획의 결과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랜드마크 공간의 구성에서 특히 두드러졌는데, 학교 A는 진로 탐색과 자기 표현 공간에 초점을 맞춘 반면, 학교 B는 지역 사회 참여를 위한 복잡한 문화 공간을 개발했습니다. 이 연구는 개별 학교의 특성과 필요를 반영하는 지역화된 학교 공간 혁신을 구현하기 위한 실증적 증거를 제공합니다.


By comparing two elementary schools that followed identical planning procedures, this study examined how educational planning can be differentiated according to a school’s characteristics. Analysis of educational planning outputs—one in an underprivileged urban area and another in a nature-friendly suburban area—revealed that local contexts and student characteristics considerably influenced the results of educational planning. This was particularly evident in landmark spaces’ configuration, with School A focusing on career exploration and self-expression spaces, while School B developed a complex cultural space for community engagement. This study provides empirical evidence for implementing localized school space innovation that reflects individual schools’ characteristics and nee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