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공명자음-ㅎ 연쇄에서 선행 공명자음이 후행하는 ㅎ 위치에 복사되는 듯한 현상이 동남방언에 존재함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이러한 현상은 단순히 ㅎ이 탈락한 자리에 선행 공명자음이 복사되는 것은 아닌 듯하다. 만약 ㅎ이 어떠한 역할을 하지 않았다면 공명자음-모음 연쇄에서도 이러한 복사형이 많이 발견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에 본고는 소위 ‘공명자음 복사현상’이라고 불리는 현상에 ㅎ이 관여하고 있다는 점을 밝히고 그 실현 환경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국립국어원에서 2005년부터 2013년까지 발간된 경상남북도의 ‘지역어 조사 사업 보고서’를 대상으로 공명자음-ㅎ 연쇄를 모두 살펴 어떤 양상을 보이는지 확인한다. 이 중 ‘공명자음 복사현상’이 적용된 어휘를 정리하여 어떠한 환경에서 이 현상이 적용되며 어떤 지역에서 잘 발생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에 앞서 공명자음 연쇄를 보이는 어휘들이 ‘공명자음 복사현상’이 아님을 증명하는 과정도 거칠 것이다. ‘공명자음 복사현상’은 후행 음절 초성으로 ㅎ이 존재한다는 것이 인식되었을 때 발생하는 듯하다. 따라서 한자어 합성어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며, 여타의 환경에서도 선행 공명자음과 후행하는 ㅎ 사이에 경계가 인식될 수 있는 환경에서 이 현상이 잘 발생하는 것으로 보인다.
It is well-known that in Southeastern dialects, there exists a phenomenon in which the preceding sonorant consonant seems to be copied into the position of a following /h/ in a sonorant consonant-/h/ sequence. This phenomenon does not appear to be a simple copying of the preceding sonorant consonant into the position where /h/ has been elided. If /h/ played no role, similar copying forms would frequently be found in sonorant consonant-vowel sequences as well.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clarify that /h/ is involved in the phenomenon commonly referred to as “sonorant consonant copying” and to examine the specific phonological environments. For this purpose, all sonorant consonant-/h/ sequences in the “Local Dialect Research Project Reports” on Gyeongsangnam-do and Gyeongsangbuk-do, publish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from 2005 to 2013, are reviewed to confirm the patterns they exhibit. From these, the lexical items that exhibit the “sonorant consonant copying phenomenon” will be organized in order to examine the environments in which this phenomenon applies and the regions where it is most likely to occur. Prior to this, the study will also involve a process to demonstrate that the lexical items showing sonorant consonant sequences are not instances of the “sonorant consonant copying phenomenon.” The “sonorant consonant copying phenomenon” appears to occur when the presence of /h/ as the onset of the following syllable is perceptible. Thus, this phenomenon occurs most frequently in Sino-Korean compounds and is also likely to occur in other environments where a boundary can be recognized between the preceding sonorant consonant and the following /h/.
키워드열기/닫기 버튼
sonorant consonant copying phenomenon, Southeastern Dialects, sonorant consonant-h, Sino-Korean compound, h recogn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