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김연수 소설의 오랜 화두는 허구성이었다. 허구와 실재, 진실과 거짓, 진짜와 가짜 등의 이분법에 기초한 가치 체계를 문제화하고 그 경계에서 허구성에 기초한 소설의 가능성에 대해 탐색했다. 이는 김연수가 소설을 쓰면서 자신의 소설 쓰기 행위에 대한 메타픽션적 인식을 늘 하고 있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왜냐하면 허구성에 대한 논의는 소설에 대한 메타적 인식에 의해서만 가능하기 때문이다. 본고는 『꾿빠이, 이상』을 대상으로 김연수 소설이 메타픽션적 글쓰기를 통해 문제화해왔던 이러한 허구의 의미론에 대해 고찰했다. 『꾿빠이, 이상』의 두 번째 이야기, 「잃어버린 꽃」은 허구와 실재의 이분법이 갖는 의미와 함께 하나의 허구가 실재로 변화하는 과정을 서사화했다. 실재는 자신의 근원을 허구화하고 다른 허구들과의 경쟁에서 살아남음으로써 얻게 되는 허구의 또 다른 이름에 불과했다. 따라서 중요한 것은 ‘허구냐, 실재냐’의 문제가 아니었다. 『꾿빠이, 이상』의 세 번째 이야기, 「새」는 삶의 진위 여부를 다루고 있었다. 텍스트를 둘러싼 허구와 실재의 경계가 지니는 모호함은 삶을 둘러싼 허구와 실재의 문제에도 예외 없이 적용되었다. 스스로를 한국계 미국인으로 알았던 피터 주는 자신이 원래 중국인이라는 사실을 알고 공허함을 느끼지만 이 공허함을 무마시켜줄 또 다른 허구로 삶을 지탱해나갔다. 『꾿빠이, 이상』의 첫 번째 이야기, 「데드마스크」는 허구와 실재 그리고 진짜와 가짜 사이에서 ‘존재한다는 것’의 의미에 대해 탐색했다. ‘허구냐, 실재냐’, ‘진짜냐, 가짜냐’는 중요한 문제가 아니라고 했다. 왜냐하면 허구와 실재, 진짜와 가짜는 대상의 본질에 의해 규정되는 것이 아니라 대상을 둘러싼 정황에 의해 결정되며 존재는 이러한 이분법적 경계 너머에 존재하기 때문이다. 『꾿빠이, 이상』은 허구와 실재의 관계를 통해 문학의 허구성이 갖는 의미에 대해 논의했다. 허구에는 실재라는 허구와 문학이라는 허구가 존재한다. 실재는 자신의 존재 근원을 소멸시키고 다른 허구들을 배제하면서 허구라는 사실을 숨긴 채 기능한다. 이러한 실재가 허구라는 본질을 드러낼 때, 사람들은 허무에 직면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허무를 극복하고 삶을 견딜 수 있게 만든 것 또한 일종의 허구다. 즉, 실재가 허구라는 사실에 직면하여 느끼는 허무는 또 다른 허구에 의해 초극될 수 있는데 이것이 곧 문학이라는 허구다. 이런 측면에서 소설이 갖는 문학적 진실이 드러난다.
Fictionality is a central theme in Kim Yeon-soo’s novels. His works challenge the dichotomy of fiction and reality, truth and falsehood, and the real and the fake. Kim explores the possibilities of fictionality at the boundaries of these constructs, adopting a consistently metafictional approach. This study examines the semantics of fiction in Good-bye, Lee Sang. The second story in Good-bye, Lee Sang, “Lost Flower,” examines the dichotomy between fiction and reality, illustrating how fiction transforms into reality. Reality, Kim suggests, is merely another form of fiction—one that survives by fictionalizing its origins and competing with other forms of fiction. Therefore, the key issue is not “fiction or reality?” The third story, “Bird,” addresses the truth of life and its ambiguous boundary between fiction and reality. This theme is extended to life itself. Peter Ju, a character who identifies as Korean-American, experiences existential emptiness upon discovering his Chinese origins. However, he constructs a new fiction to fill this void, highlighting the human tendency to sustain life through narratives. The first story, “Dead Mask,” explores the concept of “existence” within the interplay of fiction and reality, and the real and the fake. It suggests that “fiction or reality” and “real or fake” are not intrinsic distinctions but are defined by the circumstances surrounding the subject. Good-bye, Lee Sang delves into the meaning of fictionality in literature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iction and reality. Reality conceals its fictional nature by erasing its own source of existence and excluding other fictions. When this fictional basis is revealed, nihilism emerges. However, fiction overcomes this nihilism and makes life bearable. In other words, nihilism encountered when realizing that reality is fiction can be overcome by another form of fiction—the fiction of literature. In this way, literature reveals the deeper truth of fiction.
키워드열기/닫기 버튼
metafiction, fictionality, Kim Yeon-soo, Good-bye, Lee Sang, fiction, reality, literary tru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