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글에서는 강원도 18개 시군의 설화 자료를 기반으로 한 설화 연구 현황을 미시적, 거시적으로 살펴보고, 향후 강원지역 설화 연구 과제를 제시하였다. 강원도 지역별 설화 기초자료 수집 및 연구가 비교적 활발하게 이루어져 왔다. 연구동향을 살펴보면, 지역과 관련된 인물, 자연, 사물 등의 지역별 특정설화의 집중 연구, 지역설화와 연계한 축제 및 콘텐츠 개발 연구 등의 미시적 연구 그리고 강원권역 설화의 거시적 종합 연구도 광범위하게 이루어졌다. 다만, 특정설화 연구와 연구 대상 지역의 편중성 문제, 그리고 연구 내용의 중복 문제와 설화 기초자료 접근의 한계는 향후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강원지역 설화 연구의 양적, 질적 향상과 활성화를 위한 방안으로 연구 대상 설화의 자료 발굴 및 연구의 다양성 확보, 강원지역 설화의 기초자료 DB화 및 통합플랫폼 구축, 강원지역 설화 연구 인력 확보 및 양성을 제안하였다. 향후 강원지역의 설화 연구를 위한 실제적인 실현방안을 모색해 나가야 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the current status of folktale research based on folktale data from 18 cities and counties in Gangwon Province at a micro and macro level, and presented future tasks for folktale research in the Gangwon region. Gangwon Province is a region where basic data collection and research on folktales for each region are relatively active. In addition to micro-level studies such as intensive research on regional-specific folktales such as characters, nature, and objects related to the region, and research on festivals and content development linked to regional folktales, comprehensive macro-level research on folktales in the Gangwon region was also conducted extensively. However, issues such as bias in research on specific folktales, bias in the region being studied, duplication of research content, and limitations in accessing basic data for folktales are issues that need to be resolved in the future. To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enhance and revitalize folktale research in the Gangwon region, this study proposed ways to discover data on folktales to be studied, secure research diversity, create a basic database and build an integrated DB platform, and secure and train research personnel. Based on this study, practical implementation ways for future research on Gangwon region folktales will need to be sought.
키워드열기/닫기 버튼
Gangwon region folktales, trends in Gangwon folktale research, bias in regional folktale studies, identity of regional folktale, local figures, ※ 이 논문은 2024년 10월 31일에 투고되어2024년 12월 17일에 심사 완료되고2024년 12월 20일에 편집위원회의 회의에서 게재가 확정되었음. regional festivals, regional folktale content, Gangwon folkl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