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메타분석을 활용하여 글 없는 그림책을 이용한 교육의 효과크기를 총체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유아를 위한 글 없는 그림책 활용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33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랜덤 효과 모형을 적용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평균 효과크기는 1.51로, 글 없는 그림책을 활용한 교육이 유아에게 미치는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종속 변인에 따른 효과크기 차이를 분석한 결과, 음악적 능력과 미술표상능력에서 가장 큰 효과크기를 나타냈다. 셋째, 조절 변인 중 활동유형으로는 극화 활동과 음악 활동에서 효과크기가 가장 컸으며, 글 없는 그림책을 활용한 실험 처치 횟수가 많을수록 효과크기가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교육현장에서 글 없는 그림책을 활용하는 데 있어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mploys meta-analysis to comprehensively examine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of wordless picture books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developing programs using wordless picture books for infants and toddlers. To achieve this, a random effects model was applied to 33 papers published in domestic academic journals.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overall average effect size was 1.51, indicating a substantial educational impact of wordless picture books on infants. Second, among dependent variables, the largest effect sizes were observed in musical ability and artistic representation ability. Third, moderating variables, such as activity type and number of experimental treatments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effect size. The effect sizes of dramatization and music activities were the largest regarding activity types, and the larger the number of experimental treatments, the larger the effect siz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