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고령화 사회에 맞춰 2040년 인구 변화에따른 최적의 노선을 제안한다. 현행중인 버스 노선과관련 정책들의 부족한 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는세종시를 사례로 활용한다. 본 연구에서 2040년 세종시인구 변화를 예측하기 위해서 시계열 데이터 분석을 사용하여 초고령 사회로 변화됨을 확인했다. 버스 노선, 정류장 위도, 경도 데이터, 노인 대상 시설과 예측한 인구 변화에 기반한 물리적 데이터를 사용한 목적함수를개발했다. 목적함수의 결과로 현존하는 버스 정류장 가중치를 부과하며 그에 따른 여러 노선을 개발했다. 생성한 노선 대상으로 거리, 시간 시뮬레이션을 통해 대중교통 상황에 대비해 가지는 효과를 설명한다. 생성한새로운 대중교통 노선은 기존의 노선과 비교했을 때 보다 효과적인 기능을 보였다.
This study proposes the optimal route according to the population change in 2040 in line with the aging society in the future with increasing average life expectancy. To address the shortcomings in current bus routes and related policies, the study utilizes Sejong City as a case example. In this study, we use time series data analysis to predict the population changes of Sejong City over 20 years. We developed an objective function using bus routes, latitude and longitude data of bus stops, facilities for the elderly, and physical data on based on the predicted population change. As a result of the objective function, the weights of existing bus stops were applied, and several routes were developed accordingly. The effects on public transportation situations were explained through distance and time simulations for the proposed routes. The designed new public transportation routes showed more effective functions when compared to existing routes.
키워드열기/닫기 버튼
Population forecasting, public transportation routes, objective function develop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