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As K-POP has gained widespread attention around the world, this music genre has also gained more and more fans around the world. Slightly different from other industries, the music industry is quite dependent on its fans. This has also caused considerable resistance to the Korean music industry in expanding its global market. As the main cultural export sector of South Korea, K-POP has gained much more acceptation in non-Asian regions in recent years with its unique style and viral marketing. However, the factors affecting the growth of fans and their global distribution have not received much attention and research. Therefore,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impact of spatial distribution of K-POP fans on the export of the Korean music industry by utilizing an integrative approach that combines spatial autocorrelation and panel data analysis. More specifically, this paper selects relevant data for analysis, and uses spatial autocorrelation analysis and panel data analysis to conclude that the distribution of K-POP fan groups currently has a certain spatial aggregation. In addition, the export amount of the K-POP industry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per capita purchasing power and the number of fans, especially with per capita purchasing power. This result can serve as a reference for the future expansion direction of the K-POP industry.


K-POP 산업이 다른 산업에 비해서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특성은 ‘팬’에 대한 의존도가 매우 높다는점이다. 최근 전 세계적으로 K-POP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점점 더 많은 글로벌 팬이 형성되고 있다. 이로 인해한국 음악 산업이 글로벌 시장을 확장하는 데 있어 상당한 저항에 직면하기도 했다. 한국의 주요 문화 수출 분야인 K-POP은 독특한 스타일과 바이럴 마케팅 덕분에 최근 몇 년 동안 비아시아 지역에서 훨씬 더 많은 관심을 받게 되었다. 그러나 K-POP 팬의 성장과 글로벌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서는 여전히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글로벌 수준에서 K-POP 팬의 지리적 분포가 한국음악산업의 수출에끼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공간 자기 상관 분석과 패널 데이터 분석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했다. 첫째, 현재 K-POP 팬 그룹의 공간 분포는 일정한 공간에 집중되어있는 패턴을 보인다. 또한, K-POP 산업의 수출액은 1인당 구매력과 팬의 수와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며, 특히 1인당 구매력과의 상관관계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미래 K-POP 산업의 확장에 따른 전략 구축 등에 중요한참고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