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의 목적은 중등학교 현장과의 연계를 강화한 LTC-PBL 모형을 적용한 수업에서 나타난 예비 생명과학교사들의 긍정 경험과 어려움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PBL 에서 예비 생명과학교사들이 작성한 PBL 활동지, 자기평가지,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예비 교사들은 중등교육 현장에 대한 이해가 향상된 점과 교수 활동에 대한 자신감을 갖게 된 것을 긍정적인 경험으로 인식했다. 또한 이들은 모둠 활동을 통한 문제 해결 방안을 탐색하는 과정을 긍정적으로 인식했다. 이 과정에서 다양한 관점들을 수용하는 것에 대한 이해가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예비 생명과학교사들은 PBL 문제 분석과 많은 학습 시간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어려움을 느꼈다고 응답했다. 또한 모둠활동을 중심으로 한 협동학습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었고, 문제 해결 방안을 담은 수업지도안 작성과 그에 따른 수업실연 과정이 어려웠다고 응답했다. 이 연구의 결과는 교사양성 교육과정에 PBL의 적용을 확대하는 데 기초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ositive experiences and difficulties of pre-service life science teachers in classes applying the LTC-PBL(Life science teacher Training Curriculum-Problem- Based Learning) model that reinforced the connection with the secondary education field. To this end, PBL activity sheets, self-assessment sheets, and questionnaires prepared by pre-service life science teachers in the PBL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pre-service teachers recognized the improved understanding of the secondary education field and the confidence in teaching activities as a positive experience. In addition, they positively recognized the process of searching for problem solutions through group activities. In this process, it was found that the understanding of accepting various perspectives has increased. On the other hand, pre-service life science teachers responded that they felt difficult because they needed to analyze the PBL problem and a lot of learning time. In addition, they responded that they had difficulties in the process of cooperative learning centered on group activities, and that the process of writing a class plan containing problem-solving method and conducting class accordingly was difficul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expanding the application of PBL to the teacher training curricul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