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해방 이후 서울과 남한의 인구는 급격히 증가하였고 이로 인해 식량 문제와 인구 관리의 어려움이 발생했다. 1944년에서 1949년까지 남한 인구는 약 1,600만 명에서 2,000만 명으로 증가했고, 서울 인구는 82만 명에서 143만 명으로 늘었다. 이 시기 서울은 귀환민과월남민, 그리고 도시로 이주한 사람들로 인해 인구 압박을 받았고, 식량 문제는 더욱 심각했다. 미군정은 초기 식량자유화 정책이 실패하자 배급제로 전환했고, 이를 위해 정확한 인구 수 파악이 필수적이었다. 미군정은 1946년부터 인구동태조사와 함께 주민등록제를 실시했지만, 급격한 인구 유입과 행정 혼란으로 정확한 인구 규모를 파악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미군정은 1946년부터1947년까지 인구조사를 실시하여 배급대상 인구를 파악했으며, 이는 해방 후 급증한 인구와 식량난을 해결하기 위한 필수적인 조치였다. 인구조사는 기존의 일본식 호적제와 동적부를 기초로 한 자료를 바탕으로 진행되었고, 배급제는 세대 단위에서 개인별로 관리되었다. 이 시기 ‘유령인구’는 부정확한 조사와 행정 시스템의 미비로 인해 식량 배급에 큰 영향을 미쳤다. 유령인구는 실제 거주하지 않는 사람들이나 등록되지 않은 이들이었으며, 이는배급이 부정확하게 이루어지는 원인이 되었다. 미군정은 1946년부터 인구 조사를 통해 식량 배급의 공정성을 높이려고 했지만, 배급 정책이 변화할 때마다 유령인구조사를 실시하여 감시와 처벌을 강화하는 방식으로 전개되었다. 남한 정부 수립후 유숙계의 실시와 함께 유령인구는 곧 부재인구로 치안을 해치는 범죄혐의자로 인식되었다.
After the liberation, the population of Seoul and South Korea increased rapidly, leading to food shortages and difficulties in population management. From 1944 to 1949, the population of South Korea grew from about 16 million to 20 million, and the population of Seoul increased from 820,000 to 1.43 million. During this period, Seoul faced population pressure from returning Koreans, refugees from the North, and those migrating to the city, while food shortages became more severe. The U.S. military government, after the failure of its initial policy of food liberalization, switched to a rationing system, for which an accurate population count was essential. Starting in 1946, the U.S. military government implemented a population registration system along with demographic surveys, but due to the rapid influx of people and administrative confusion, it faced difficulties in accurately assessing the population size. The U.S. military government conducted population surveys from 1946 to 1947 to identify the population eligible for food rations, which was a necessary measure to address the rapidly growing population and food crisis. The surveys were based on existing Japanese-era household registration and dynamic records, and the rationing system was managed on a household basis, with individual rationing. During this time, the issue of "ghost populations" significantly affected the accuracy of food distribution. "Ghost populations" referred to people who were either not living in a certain area or were not properly registered, leading to incorrect rationing. While the U.S. military government tried to improve fairness in food distribution by conducting population surveys from 1946 onward, it responded to changes in the rationing policy by carrying out additional surveys and strengthening surveillance and punishment of ghost populations.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South Korean government, the introduction of the "Yusukgye" system led to the identification of ghost populations as absent persons, often viewed as potential criminals threatening public order. The problem of ghost populations exacerbated confusion in the rationing system and administrative management, making accurate population tracking and management a critical issue.
키워드열기/닫기 버튼
Food Distribution Control, ‘Ghost Population’ Census, Resident Registration, Cens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