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최근 작업 팀(work team) 제도의 폭넓은 활용으로 인해 회복탄력성 연구 분야에서는, 개인 혹은 조직 수준이라는 이분법적인 분석 수준을 넘는 팀 회복탄력성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팀 회복탄력성이 높은 팀은 단순히 높은 수준의 회복탄력성을 보유한 개인들의 집합체가 아닌, 구성원들 간의 조정, 타협, 그리고 협력과 같이 높은 수준의 상호의존성이 필연적이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들이 개념화하고 개발한 측정도구를 기반으로, 팀 회복탄력성을 회복탄력성 지향성(resilience orientation), 구조적 준비성(structural readiness), 사회적 준비성(social readiness), 태도적 준비성(attitudinal readiness)과 같은 4개의 주요 차원(dimension)으로 재명명(re-label)하고, 팀 학습지향성(team learning orientation), 팀 유연성(team flexibility), 팀 구성(team composition), 업무 설계(task design), 집단 규범(group norms), 네트워크 결합(network ties), 공유된 언어(shared learning), 신뢰(trust), 팀 멤버에 대해 지각된 효능감(perceived efficacy of team members), 집단적 팀 행동에 대해 지각된 효능감(perceived efficacy for collective team action)과 같이 총 10개로 구성된 세부 하위 요인들(factors)을 고려한다. 이어 본 연구는, 500명에 대한 설문조사 자료의 분석을 통해 4개의 주요 차원이 팀 회복탄력성이라는 집합적 상위 개념을 구성한다는 단순화된 기존 연구의 주장을 뛰어넘어, 팀 회복탄력성의 발현 과정에서 상기 4개의 주요 차원들이 서로 간에 어떻게 작용함으로써 팀 적응 수행(team adaptive performance)이라는 긍정적인 팀 결과를 만들어내는지 이론화하고 검증한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통해 본 연구는, 특정 팀이 향후 예상되는 위기상황에 대비하여 어떤 속성을 개발하거나 준비해야 하는지에 대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The management scholars in the resilience literature are paying attention to team resilience beyond the dichotomous level of analysis such as individual- or organization-levels due to the increasing use of work team. A team with a high level of resilience is not simply a constellation of individuals with a high level of resilience, but rather a group with a high level of interdependence that is inevitable, such as coordination, compromise, and cooperation among group members. The present study attempts to re-label team resilience into four major dimensions (i.e., resilience orientation, structural readiness, social readiness, and attitudinal readiness) based on framework conceptualized and measurement tools developed by previous studies, by considering ten factors (i.e., team learning orientation, team flexibility, team composition, task design, group norms, network ties, shared learning, trust, perceived efficacy of team members, and perceived efficacy for collective team action). In this study, beyond the somewhat simplified previous research results that four major dimensions constitute a collective construct, team resilience, we theorize and verify how the four major dimensions have specific relationships with each other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team resilience to produce positive results called team adaptive performance. Through the hypothesis development and analytic processes, this study can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s on what resilience attributes a particular team should develop or prepare for in preparation for an expected crisis situation in the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