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오늘날 우리가 크고 작은 정원을 만들고 가꾼다는 것의 의미와 그것의 공공성을비판적으로 재검토하기 위한 사전 작업으로서 1970년대를 전후로 한 시기에 국가에 의한조경 도입과 제도화 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조경이라는 실천적 지식체계, 즉 조경학과 조경산업, 조경정책은 우리가 스스로를 둘러싼 환경과 상호작용하는 방식에 개입하여 그것을특정한 양식으로 만들어 갔던 중요한 지식권력이기 때문이다. 한국 조경은 국가가 주도하여 학문적·산업적·정책적으로 제도화하고 발전시켰으며, 이는 당시 전문가들에 의해 관리되고 개입되어야 할 ‘환경’이 재발견된 과정과 맞물려 있었다. 이 연구는 이 시기 한국 조경은 통치의 인식론적 인프라로서, 근대화 프로젝트의 미학적 전시 수단으로서, 그리고 산업화와 수출 전략으로서 실천되었으며, 국가의 발전주의적 통치 전략에 기여했다고 주장한다. 또한 조경이 국가와 전문가들의 배타적인 영역이 됨으로써 개인들의 조경 실천들이 어떻게 불법화되고 규율되는지를 살펴본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process of introducing and institutionalizing landscape architecture by the government around the 1970s as a preliminary work to critically review the meaning of creating and cultivating gardens of various sizes today. This is because landscape architecture, as a practical knowledge system encompassing landscape studies, industry, and policy, was an important knowledge/ power that intervened in how we interact with our surrounding environment and shaped it in a specific way. Korean landscape architecture was institutionalized and developed academically, industrially, and politically under state leadership, which was intertwined with the process of rediscovering the ‘environment’ that needed to be managed and intervened by experts at the time. This study argues that during this period, Korean landscape architecture contributed to the state's developmental governance strategy as an epistemological infrastructure of governance, as an aesthetic means of displaying modernization projects, and as an industrialization and export strategy. It also examines how individual landscape practices became illegalized and regulated as landscape architecture became an exclusive domain of the state and exper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