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어린 시절 부모로부터 받은 상처를 치료하는 내면아이치료의 최근 임상적 적용과 그 치료 효과에 대한 내면아이치료의 국내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01년부터 2020년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내면아이치료 관련 논문 13편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먼저, 분석에 포함된 대상자들은 청소년부터 60대까지로 나타나 다양한 연령층을 대상으로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연구 주제는 대인관계, 부부관계, 부모자녀관계, 중독 순으로 주로 관계 문제에 나타났다. 연구방법에따른 경향을 살펴보면 총 13편 중 치료연구가 11편으로 비치료연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치료연구 중에서도 복수사례 연구가 대부분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복수사례 연구 중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를 병행한 혼합연구가 많았다. 이러한 결과들을 통해 내면아이치료 연구들이 가지는 임상적 의의를 탐색하고, 향후 연구를 위한 방향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research trends on inner child therapy in the nation based on the recent clinical applications of inner child therapy, which is to treat childhood wounds from parents, and their therapeutic effects. For this purpose, the study analyzed 13 papers on inner child therapy published in the nation from 2001~2020. The studies included in the analysis targeted various age groups from adolescents to the elderly in their sixties. The most popular research topic was interpersonal relationship, which was followed by marital relations, parent-child relations, and addiction, in that order. These studies mainly addressed relationship issues. Their research trends were examined according to methodology. Of a total of 13 papers, 11 were on therapeutic research, which was conducted relatively actively compared with non-therapeutic research. Most of the therapeutic research covered multiple cases. Many of this research mixed qualitative study with quantitative study.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examined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research on inner child therapy and proposed directions for future stud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