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노원 자원회수시설 지하화 사업에 대해 조건부가치측정법(CVM)을 활용하여 경제적 가치를 추정한 사전적(Ex-ante) 연구이다. CVM 설문 대상은 시설과의 거리와 사용 유무를 고려해 직접 권역, 간접 권역, 기타 권역으로 구분하였으며 지불거부자를 제외한 328명의 유효한 표본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직접 권역 거주자의 연간 WTP는 2,409원, 간접 권역은 1,822원, 기타 권역은 1,807원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바탕으로 연간 편익을 추정하면 약 7,555백만 원이 된다. 이 편익 추정치는 노원 자원회수시설이 지하화되는 경우 예상되는 편익의 하한치로 볼 수 있으며, 자원회수시설의 지하화 사업의 타당성 검토를 위한 경제성분석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provides an ex-ante analysis estimating the economic value of the underground relocation project of the Nowon Resource Recovery Facility using the Contingent Valuation Method (CVM). Survey respondents were categorized into direct zones, indirect zones, and other zones based on their proximity to the facility and usage patterns. After excluding protest bidders, the analysis was conducted on 328 valid samples.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annual willingness to pay (WTP) of residents in direct zones was KRW 2,409, while those in indirect and other zones were KRW 1,822 and KRW 1,807, respectively. Based on these findings, the project’s estimated annual benefit is approximately KRW 7,555 million. This figure represents the lower bound of the anticipated benefits from the underground relocation of the Nowon Resource Recovery Facility and is expected to serve as foundational data for the project’s economic feasibility analy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