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요양병원 종사자들의 이직의도에 주목하여 정서적 소진과 조직침묵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요양병원 종사자의 정서적 소진, 조직침묵, 이직의도는 직종별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둘째, 요양병원 종사자의 정서적 소진은 이직의도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가?이며, 셋째는 요양병원 종사자의 정서적 소진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직침묵은 매개효과를 가지는가이다. 부산지역의 요양병원에 근무하는 종사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였으며 최종적으로 307부의 데이터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정서적 소진과 이직의도 값에서 행정직이 간호직보다 높게 나타났고 유의한 차이로 확인하였다(정서적 소진: 3.1973>2.7463, 이직의도: 3.0939>2.7009). 또한 정서적 소진은 이직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β=.660, p=.000), 정서적 소진이 조직침묵을 매개로 이직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는 위계적 회귀분석과 붓스트랩 검증을 통해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에서는 정서적 소진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이 β=.660(p=.000)에서 β=.554(p=.000)로 감소하여 부분매개효과임을 보여주고 있다. 붓스트랩 분석에서 간접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한 결과, 계수 값은 .1108로 나타났고 LLCI=.0583, ULCI=.1786으로 확인되어 LLCI와 ULCI 값이 0을 포함하지 않아 유의한 것으로 판정하였다. 본 연구는 요양병원의 종사자들의 이직의도가 원인을 밝히는 연구에 기여하였으며 향후 요양병원이 제공하는 의료 및 돌봄 서비스의 질을 관리하는 방안을 도출하는 데 유용한 결과가 될 것이다.


In this study, by focusing on turnover intentions of nursing hospital workers, we empirically examined how turnover intentions arise through emotional exhaustion and organizational silence experienced at work.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is there a significant difference by job type in emotional exhaustion, organizational silence,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nursing hospital workers? Second, does the emotional exhaustion of nursing hospital workers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Third, does organizational silence mediate the effect of emotional exhaustion on turnover intention?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survey of employees working in nursing hospitals in Busan, and 307 responses were analyzed. The results revealed that administrative staff scored higher than nursing staff on both emotional exhaustion and turnover intention with significant differences(emotional exhaustion:3.1973>2.7463, turnover intention: 3.0939>2.7009). Emotional exhaustion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urnover intention(β=.660, p=.000). Additionally,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bootstrap testing confirmed the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silence. In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direct effect of emotional exhaustion on turnover intention decreased from β= .660(p=.000) to β=.554(p=.000), indicating a partial mediating effect. The bootstrap analysis further validated the indirect effect, with a coefficient of .1108, and the confidence intervals (LLCI = .0583, ULCI = .1786) excluding zero, confirming statistical significance. This study contributes to understanding the determinants of turnover intention among nursing home employees and provides practical implications for managing the quality of medical and care services offered by nursing hospita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