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Space Repository

Browsing by Subject "Gender Studies"

Browsing by Subject "Gender Studies"

Sort by: Order: Results:

  • JINAH PARK; Lee, Kyung Sook; 전연진 (The Korean Society For Woman Psychology, 2014-03)
    본 연구는 0-3세 영유아 어머니의 정신건강, 양육스트레스, 모-자녀관계 및 자녀의 기질과 행동문제가 어머니의 인터넷 중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전국 5개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0-3세 영유아 자녀를 둔 어머니 811명이었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0-3세 영유아 어머니의 인터넷 중독 실태를 살펴본 결과, 전문치료기관에서 집중치료가 요구되는 고위험 사용자는 ...
  • Yang, Jeong-Ho (Institute of Women's Studies, 2015-12)
    이 논문은 1692년 뉴잉글랜드 세일럼에서 진행되었던 마녀재판에 대하여 미시사 연구방법론을 적용하여 연구함으로써 17세기 말 뉴잉글랜드의 종교문화를 재구성한 것이다. 1692년 사건 당시의 재판기록, 세일럼 마을의 목회자이던 사무엘 패리스 목사의 설교문, 그리고 교회설립 당시부터 마녀재판 이후까지의 교회 회의록 등의 문서들을 분석하여 마녀재판과 관련된 인간관계의 그물망을 재구성하고자 한다. ...
  • Joo, Kyung-Mee (The Center for Women's Studies, Silla Univ., 2001-12)
  • 박미해 (Korean Association Of Women'S Studies, 2002-06)
    본고는 조선 중기 성리학자인 柳希春의 부부관계를 통하여 이들의 夫權과 婦權을 분석하고 당시의 女性들에 대한 사회적 허용과 유교적 제약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유희춘 부부는 서로가 존중하는 조화로운 부부관계를 유지하였으나 집안의 婦權이 상당히 능동적으로 남편과의 관계를 주도하고 있는 흥미로운 결과를 보였다. 이 시기 여성들은 자율적이고 적극적인 위치를 점하고 있었으며 사회적인 女性權의 범위가 ...
  • Hyejeong Bae (Women's Studies Center, Pusan National University, 2013-02)
    17세기는 영국여성에게 모순적인 상황을 던져 준 시대였다. 출판과 교육을 비롯한 지적 영역에서 여성을 공식적으로 배제한 시기였음에도 불구하고, 두 번의 내전과 왕정복고 등 정치적 격동기를 겪으며 더 많은 여성이 글을 쓰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이런 모순은 어떻게 설명될 수 있을까?본고는 17세기 여성작가들이 처한 현실과 이를 타개하는 방식을 살펴봄으로써 이런 모순을 해명하고자 한다. 17세기에 ...
  • HA YEO JU (Women's Studies Center, Pusan National University, 2017-10)
    17세기 조선 양반 사회는 결혼 형태 변화와 함께 젠더 계층화(gender stratified)를 시도하고 있었다. 이 과정에서 조선 양반 남성은 보다 순조로운 젠더 권력의 차등화를 위해 시집살이를 기획했다. 본 글은 17세기 초중반 경상도에 거주했던 어느 양반 가족이 남긴 『현풍곽씨 한글편지』를 통해 여성의 관점에서 당시 갈등양상을 파악했다. 첫째, 시간이 지남에 따라 친정과 시집의 거리는 ...
  • Kyungnam Kim (The Center for Women's Studies, Silla Univ., 2022-12)
    요약 본 연구는 일제 강점기 여성운동과 여성 담론의 변화 양상을 객관적으로 기술하기 위한의도에서, 1910년대 매일신보 에 소재한 여성 담론 자료를 조사하고, 그 특징을 분석하는 데목표를 두었다. 이 신문은 일제 강점기 조선총독부의 기관지로 인식될 정도로 식민 정책을 홍보하는 역할을 담당한 신문으로, 여성 담론에서도 식민지적 퇴영성을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이 신문의 사설, 논설, 기사, ...
  • YiSook Choi (Institute of Women's Studies, 2014-12)
    이 연구는 전통적인 유교사회에서 낯선 것이었던 ‘이성-감정’의 이원론이 언제부터 정착되었는가에 대한 궁금증에서 출발한다. 이를 위해 문화통치기 『 동아일보』에서 이성-감정이 어떻게 의미화되었는지에 대해 논의하였다. 분석 결과 다양한 주제에서 유학생을 비롯한 근대적 교육을 받은 집단에 의해 논의된 이성-감정은 근대적 주체를 구성하는 요소였고, 당대의 현실인식에 중요한 틀로 자리하였다. 이성과 ...
  • MeeSun Kim (Korean Women's Institute, Ewha Womans University, 2005-12)
    본 연구는 식민지 조선의 소비문화가 새로운 여성 주체인 신여성을 구성하는 데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1930년대 발간된 여성잡지 ꡔ신여성ꡕ, ꡔ신가정ꡕ, ꡔ여성ꡕ에 실린 화장품 광고와 여성미 및 화장에 관한 미용사와 지식인의 글을 중심으로 하여 ‘신식’화장담론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1930년대 화장문화의 산업화와 전문화 과정 속에서 부상한 ‘신식’화장담론이 ...
  • EONJU PARK (Korean Association Of Women'S Studies, 2017-03)
    본 연구는 교사로 정년퇴임한 1940년대 출생 전문직 여성 김지영의 구술생애사를 통하여 산업화시기에 노동시장에 진출한 전문직 여성의 노동경험을 이해하려는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세 차례에 걸친 인터뷰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한 자료를 구술생애사 연구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김지영은 원가족의 경제력을 기반으로 교원양성 및 충원이라는 사회적 요구에 힘입어 고등교육을 이수하고 전문직에 진출하였다. ...
  • Soojin Byun; Sungsang Yoo (Korean Women's Institute, Ewha Womans University, 2018-12)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근대적 농촌개발사업의 기원이 되는 1950-1960년대 미국의 한국 농촌 개발사업에서 여성들을 대상으로 어떠한 계몽활동을 하였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주한미공보원이 한국 농촌사람들에 대한 계몽의 목적으로 발간한 잡지 『새힘』을 중심으로 농촌 여성들에게는 어떠한 계몽의 내용을 전달하고자 하였으며, 그 특징이 무엇인지 당시 시대적 맥락을 고려하여 살펴보았다. 그 결과, ...
  • Eun-Shil Kim; 김현영 (Korean Women's Institute, Ewha Womans University, 2012-06)
    이 논문은 1공화국의 여성단체와 여성지도자들이 어떠한 방식으로 국가형성에 참여했으며, 또 여성들은 국가 내에서 어떠한 자리와 공간을 가질 수 있었는지에 대한 관심으로 출발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해방과 한국 전쟁을 겪고 여성지도자로 부상한 여성들과 그들이 주축이 되어 활동한 여성단체의 활동양상을 1공화국 국가건설기에 여성적 공적영역을 만들고자 했던 시도로 보고, 이러한 시도들이 수용, ...
  • Kim, Eunkyung (Women's Studies Center, Pusan National University, 2011-02)
    This paper aimed to show the process of the formation of an image of “mother” in the Korean society by revealing the gap between maternal discourse and the reality after the Korean War. In the current study’s perspective, ...
  • 김지혜 (Korean Association Of Women'S Studies, 2010-03)
    본 연구는 1950년대 여성국극이 여성들의 친교와 유대가 활성화되는 문화적 장이었다는 것에 주목하면서, 여성국극배우와 여성관객에 대한 심층면접을 토대로 여성국극공동체에서 구현된 동성친밀성의 양상을 분석한다. 본고는 여성국극을 매개로 여성들의 관계성이 어떻게 형성되었는지 탐구하기 위해 여성들만의 공간으로 이루어진 여성국극단체가 지닌 안전성, 전(全) 여성 배역 공연과 배우들 간의 동료애, 여성관객과 ...
  • Jihye Kim (Korean Association Of Women'S Studies, 2011-06)
    본 연구는 1950년대 여성국극의 연기훈련과 단체생활, 1950년대 후반 극단 활동을 살펴보고 여성국극 쇠퇴 원인에 대한 지배 담론을 비판적으로 고찰한다. 여성국극 극단은 단체활동을 작품의 연습과 공연에 집중하면서, 배우 양성을 위한 전문적 교육과정을 체계화하지 못했다. 여성국극 연기는 남역/여역을 분명하게 구분하기 위해 의상, 분장, 동작, 화법, 가무에 전형적인 성별 이분법을 적용했다. ...
  • Lee Byungsoon (Research Institute of Asian Women, 2020-04)
    「너와 나와의 청춘」은 최정희가 『주부생활』의 편집주간을 맡고 있던 시기, 같은 잡지에 연재한 소설이다. 1950년대 중후반 여성지의 지배 담론은 ‘현모양처’론이었다. 1958년 최정희는 1년간 『주부생활』 편집주간을 맡으며 「너와 나와의 청춘」과 「인생찬가」를 연재했다. 동시기에 쓰여진 이 소설들은 인물의 캐릭터 설정과 스토리 전개가 유사한데, 특히 ‘현모양처’ 이데올로기를 주제로 내세우고 ...
  • 전희경 (Korean Association Of Women'S Studies, 2013-09)
    이 글은 한국사회의 변화하는 현실을 분석하고 개입하려는 여성주의 연구의 일환으로, ‘나이’가 젠더 생산과 어떤 관계에 있는가를 질문한다. ‘나이’를 분석 대상으로 위치시키고 구체적인 시・공간 속에서 ‘나이’가 젠더구조와 관련되어 작동하는 방식을 이해하기 위한 틀로서 ‘젠더-나이체제’라는 개념을 제시하고, 이를 통해 근대화 프로젝트가 추진되었던 1960∼1980년대에 어떻게 ‘여성’이라는 범주의 ...
  • Choe, EunSu (Research Institute of Asian Women, 2019-12)
    본고에서는 ‘일본군 위안부’ 문제가 담론화되기 이전, 1960년대의 일본사회에 있어서의 ‘위안부’를 둘러싼 언설을 배경으로 하는 영화표상에 주목하고자 한다. 일본에서 제2차 세계대전 중의 ‘일본군 위안부’는 패전 직후인 1945년부터 이미 각 지방별로 조직되기 시작한 전우회 등의 전 일본군 병사의 모임이라는 사적 공간, 나아가 전장에서의 성적 경험을 기술하는 삼류잡지 등을 통해 언급되어 왔고, ...
  • Kim, Insun (Women's Studies Center, Pusan National University, 2013-02)
    미시시피 여름 프로젝트는 1964년 여름방학 동안 북부의 청년들을 모집해서 미시시피 흑인들의 유권자등록을 독려한 사건이다. 훗날 이 프로젝트는 “자유여름”이라 불렸다. 자유여름은 인종과 젠더, 섹슈얼리티가 뒤얽힌 역사적 사건이었다. 자유여름 내내 상이한 성과 계급, 인종 간의 차이가 드러나면서 격렬한 대립관계가 빚어진 한편 현실적인 소통 또한 모색되었다. 기존연구는 이러한 갈등과 대립, 소통 ...

Search DSpace

Browse

My Accou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