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Space Repository

Browsing by Subject "Geography"

Browsing by Subject "Geography"

Sort by: Order: Results:

  • Han, Sang Ho (The Korean Research Association of Old Maps, 2024-06)
    본 연구는 日帝가 3차(1895~1906, 1909~1916, 1910~1918)에 걸쳐 제작한 1/5만 근대지형도를 통해 인천과 부천․시흥 지역에 위치한 山 지명을 검토해 보면서 지명의 특징과 활용의 문제점을 고찰해 보았다. 제1차부터제3차 지형도를 검토한 결과 첫째, 山 지명의 수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둘째, 제작 차수마다새롭게 표기되는 山 지명들이 나타나고 있었음을 ...
  • Myung-Hee Lee (The Korean Research Association of Old Maps, 2012-06)
    본고는 12, 13세기 중국고지도에 우리나라가 어떻게 표현되었는지 살펴보고, 그 의의에 대해 고찰했다. 우선 12, 13세기 중국의 대표적인 지도들을 소개하고 그 중 한반도가 표현되어 있는 지도들을 따로 나누어 한반도 부분을 분석했다. 그 결과 『화이도(華夷圖)』, 『지리도(地理圖)』, 『여지도(輿地圖)』, 『역대지리지장도(歷代地理指掌圖)』 등의 지도에 그려진 한반도의 모습과 지명들을 파악할 ...
  • ILL SON (The Korean Cartographic Association, 2012-04)
    북서항로의 가능성을 긍정적으로 그려 놓은 메르카토로의 1569년 세계지도와 오르텔리우스 1570년 세계지도의 등장, 로버트 더들리를 필두로 한 활동가 그룹의 새로운 권력층 부상, 1560년대 후반과 1570년대 초반 멕시코-필리핀 간 스페인의 태평양 무역항로 정착, 네덜란드를 사이에 두고 스페인과 잉글랜드의 갈등 증폭 등을 배경으로 잉글랜드로서는 스페인과의 마찰을 무릅쓰고라도 동방무역에 참가하지 ...
  • Lee Yong Gyun (한국도시지리학회, 2024-12)
    이 연구는 카를로스 모레노가 제시한 ‘15분 도시’를 핵심 개념과 실천을 중심으로 고찰하고, 이에 내재한 이슈와 한계를 고찰한 것이다. 모레노는 도시를 시공간의 결합체로 인식하며, 시간-도시주의와 지속가능한 도시의 관점에서 15분 도시를 제시한다. 밀도, 근접성, 다양성, 디지털화는 15분 도시계획의 핵심 요소이며, 이들 요소가 도시공간에서 실천되기 위해 생활권, 다중심 도시, 복합용도지구와 ...
  • Oh, Il Whan (The Association Of Korean Cultural And Historical Geographers, 2009-04)
    본 연구는 16세기부터 17세기까지 서양에서 제작된 고지도에 우리나라가 처음 섬으로 나타난 형태와 유형의 변화를 도형학적으로 세분화하고 구체적으로 분류한 연구이다. 우리나라는 16세기 중반부터 서양 고지도에 섬으로 그려지고 있다. 새로운 해상항로를 개척하기 시작한 포르투갈을 비롯한 항해가와 상인들이 전달한 우리나라에 대한 섬 형태의 지리 인식은 길다란 유형으로 테이세라형, 플란시우스·혼디우스형이 ...
  • Lee, Joon Ho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2016-11)
    본 연구에서는 승정원일기에 기록된 매일의 날씨와 기상현상을 토대로 기상기후 정보를 자료화하고 조선왕조실록 등에 기록된 기상 및 천변재이에 관한 정보를 추가 조사하여, 지금까지 연구되지 않은 1623~1800년 기간 서울지 역의 기상과 기후 환경을 파악하였다. 1500~1760년은 소빙기에 해당하여 조사기간 서울지역에서는 대부분의 여름이 서늘하였으며 대체로 기상현상의 변화가 심하고 한랭 건조했던 ...
  • Kibong Lee (The Association Of Korean Cultural And Historical Geographers, 2014-08)
    최초로 독립된 도별지도책으로 엮여진 『동국지도』(1500년대 후반)는 동람도의 내용과 형식을 그대로 계승하면서도 정치·군사·사회적으로 중요하다고 여겨진 정보를 선택·추가하는 방식으로 제작되었다. 그 과정에서 지도 위에 정보를 압축적으로 표기하고 물리적 거리를 시간거리(日程)로 바꾸는 방법이 개발되었으며, 지도와 분리된 도별 지계리수(地界里數)와 지도의 여백에 모든 고을·찰방역·진보에 대한 간략한 ...
  • Inchul Jung (The Korean Cartographic Association, 2017-12)
    이 연구의 목적은 16세기 프랑스의 디에프 학파의 지도에 수록된 ‘거대한 자바’에 대해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디에프학파의 지도가 제작되던 당시의 시대적 배경과 지도의 일반적인 특성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거대한 자바’의 표현 내용과 시대에따른 표현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또한 동시대 다른 유럽국가의 지도의 표현내용과 비교했다. 연구결과 디에프 학파의 지도는장 파르멩티에의 「항해기」와 장 ...
  • Inchul Jung (The Korean Cartographic Association, 2010-06)
    홋카이도와 주변지역에 대한 유럽인들의 탐사와 지도 작업은 유럽인들의 동해와 한반도 인식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16세기와 17세기의 서양고지도에 나타난 이 지역의 표현 형태를 논의하였다. 16세기까지는 이 지역에 대한 유럽인의 지리적 인식 수준은 매우 미약하여 일본만 태평양 한 가운데에 표현하는 수준에 머물렀다. Angelis의 지도가 1621년 제작됨으로 홋카이도의 지도 제작은 ...
  • Saangkyun Yi (The Korean Cartographic Association, 2019-08)
    "이 연구는 우산 명칭의 소멸과 석도 명칭의 등장 사이에서 실체(독섬1))와 명칭(우산, 석도)간 불일치 상황에 의문을 제기하고, 조선 후기에 제작된 지도와 사료에 등장하는 독섬의 이미지, 그리고 우산, 석도 명칭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독섬의 실체, 그리고우산과 석도 명칭에 얽힌 의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17세기 무렵, 조선왕실은 독도의 실체를 분명하게 인식하였으며, 그 당시사람들이 알고 ...
  • Jung, Dae-Young (The Korean Research Association of Old Maps, 2020-06)
    동아시아 해역에서 빈번하게 발생했던 ‘표류(漂流)’는 해양문화를 이해하는 주요한 일면이다. 본고는 연암 박지원의 『연암집』에 수록된 제주인 이방익(李邦翼, 1757~1801) 표류에 관한 ‘서이방익사(書李邦翼事)’의 기록을 참고하여 이방익 일행이 대만의 대남부에 머무르는 동안 경험했던 ‘심문-환대-전별-송환’의 과정과 문화접촉 양상을 파악하였다. 표류 과정에서 표류인이 경험한 심문과 송환은 ...
  • Kim, Ki-Hyuk (The Association Of Korean Cultural And Historical Geographers, 2018-08)
    이 연구는 17~18세기의 제주도 고지도의 하천 유로와 지명을 통하여 지도 계열을 분석하고, 지방 지도에 수록된 지리 정보가 군현지도에 어떻게 반영되었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지도는 3계열의 유형으로 분류됨을 확인하였다. 첫째 유형인 「탐라도」계열의 지도 하천 유로가 13곳이 그려져 있으나 지명은 전혀 기재되어 있지 않은 유형이다. 이중 「한라장촉」은 목판본 「탐라도」를 저본으로 ...
  • Park, Kwon-soo (The Association Of Korean Cultural And Historical Geographers, 2015-04)
    이 논문에서 필자는 17세기 조선왕실의 王陵 선정 과정에서 方外地師의 참여양태와 역할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인조와 효종, 현종 대의 왕릉조성과 관련된 『조선왕조실록』과 『승정원일기』, 『山陵都監儀軌』 등의 자료들을 토대로 방외지사가 초빙되는 과정과 방외지사의 신분 및 활동 등을 정리하였다. 방외지사란 한양의 조정에서 벼슬을 하고 있지 않은 이들로서 擇地, 혹은 風水地理 지식에 조예가 깊은 ...
  • JANG Sanghoon (The Korean Research Association of Old Maps, 2023-06)
    중화세계의 중심이던 명이 망하고 청이 조선에 군신관계를 강요한 상황에서 또한 서양의 지리지식이 본격적으로 유입되어 전통적인 세계관에 대한 도전을 의식하던 상황에서, 조선의 지식인들은 조선판 아틀라스 『여지도』를 만들어 지도 속에 중화문명의 복원과 계승에 걸맞은 당위의 세계를 구축함으로써 이러한 상황에 대처하고자 했다. 이 지도집을 만들던 시기의 청은 무력으로 조선을 굴복시킬 수 있는 세력이었지만, ...
  • Jeong, Eun-joo (The Association Of Korean Cultural And Historical Geographers, 2020-12)
    본문에서는 보물 제1596호로 지정된 『동여비고』 저본의 제작자가 정경흠이며, 그가 제작한 『지나조선고지도(支那朝鮮古地圖)』와 『동여고실(東輿攷實)』 등 지도첩 2점을 새롭게 발굴하여 소개하였다. 『지나조선고지도』와『동여고실』에는 1679년 이전 강화도 지도를 포함하였다. 『동여고실』은 『지나조선고지도』의 지명 수정 사항을 반영하였다. 『동여비고』와 『조선강역총도』는 위 지도를 초본으로 ...
  • Jeong, Eun-joo (The Korean Research Association of Old Maps, 2009-12)
    본고는 17세기 전반의 시대 상황과 「목장지도후서」를 분석하여 《목장지도》와 《정색도》의 제작 경위를 살펴보고, 지도의 지지 내용과 마정 관련 사료를 바탕으로 제작시기를 구체화하였다. 《목장지도》는 17세기 馬政의 정책 수립에 활용하기 위하여 전국 감목관에게 명하여 목장의 실태를 그림과 지리적 내용을 보고하게 하고 이를 토대로 정리 편찬된 것으로 그 사료적 가치가 높다. 1678년 제작된 ...
  • Kim Soyoung (The Korean Research Association of Old Maps, 2021-06)
    《한강주유아회도첩》은 1811년 문인관료들이 한강 일대를 유람하고 쓴 시문과 그림, 그리고 발문이 합쳐진 시서화합벽첩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 아회도첩이 제작된 배경과 아회에 참여한 구성원들이 누구였는지 유람의 여정 을 좇아 추정해보았다. 1박 2일의 일정 동안 이루어진 한강 유람에는 이시수(1745-1821)를 비롯한 그의 교유범위 내에 있는 지인들이 참여했을 것으로 사료된다. 아회도첩에 ...
  • Sunghee Kim (The Korean Research Association of Old Maps, 2012-06)
    본고에서는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소장 『1872년 지방지도』의 전국 군현지도 연구에 앞서 도별 지도 제작방식과 지도에 반영된 지역 특색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우선 1872년 강원도지도 장황형태와 제작방법을 구체적으로 연구하였다. 1872년 강원도지도는 회화성을 띠는 독창적인 표현방식이 주목된다. 강원도는 지형의 절반 이상이 험한 산지로 이루어져 있다. 강원도지도에는 이러한 지형의 특징이 잘 ...
  • Sunghee Kim (The Korean Research Association of Old Maps, 2015-06)
    『1872년 군현지도』는 도별로 제작되어 지역에 따라 다양한 양식이 표출되었다.『1872년 군현지도』 가운데 경상도 지도는 군현지도 62장, 진영지도 37장, 산성지도 5장, 목장지도 2장으로 구성되어 팔도 중에서 가장 많은 지도가 수록되었으며 동남쪽이 바다에 접한 지리적 특성 때문에 해안 방어를 위한 군사시설을 그린 지도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또한 경상도 지도는 다른 도의 지도와 ...

Search DSpace

Browse

My Accou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