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Space Repository

Browsing by Subject "Oceanography"

Browsing by Subject "Oceanography"

Sort by: Order: Results:

  • 김민경 (Korea Institute of Ocean Science & Technology, 2022-03)
    The Amundsen Sea in West Antarctica is one of the most affected regions by climate change, but it is one of the least studied realms due to difficulties in access. Korea Polar Research Institute (KOPRI) launched a research ...
  • 김보배; Hyun, Jung-Ho; Hye Youn Cho (Korea Institute of Ocean Science & Technology, 2010-09)
    To assess community structure and diversity of archaea, a clone sequencing analysis based on an archaeal 16S rRNA gene was conducted at three sediment depths of the continental slope and Ulleung Basin in the East Sea. A ...
  • 방현우; 임동현; Lee, Wonchoel (Korea Institute of Ocean Science & Technology, 2010-12)
    To characterize ecotoxicological responses to a natural estrogen, 17β-estradiol, we evaluated the life-history of the parental (F0) and first generation (F1) of the harpacticoid copepod, Tigriopus japonicus sensu lato. We ...
  • Ju Eun Park; 김수윤; Choi, Byoung-Ju; Do-Seong Byun (The Korean Society Of Oceangraphy, 2019-05)
    동해의 평균 표층 순환과 표층 해류의 변동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1991년부터 2017년까지 동해를 지나간 표층 뜰개들의 궤적을 분석하였다. 표층 뜰개 자료를 분석하여 동해 표층 해류들을 그 주경로 별로 분류하고, 이들 해류의 변동을 조사하였다. 동한난류는 한국동해안을 따라 북쪽으로 흐르며 36∼38°N에서 이안한 후 동해 중앙(131∼137°E)에서 동쪽으로 흐른다. 이때 해류 경로의 평균 ...
  • Hyeonsoo Cha; Jo Seongbae; Jae-Hong Moon (Korea Institute of Ocean Science & Technology, 2024-03)
    Due to physical processes varying in space and time, regional sea-level rise (SLR) significantly deviates from the global mean. Thus, understanding and quantifying the contribution of each process to regional sea-level ...
  • 임월애; jeong chang su; Changkyu Lee; 조용철; 이삼근; 김학균; Ik Kyo Chung (The Korean Society Of Oceangraphy, 2002-03)
  • LEE JAE HAK; Dongchull Jeon; Sang-Chul Hwang; 정병철; 황근춘; 이하웅 (Korea Institute of Ocean Science & Technology, 2002-09)
    및 토의2001년 5-6월 한국해양연구원에서 연구선 온누리호를 이용하여 수행된 서태평양 대양항해 중 자동 기록으로 획득된 TSG 자료를 분석하고 이의 운용상 문제점 및 개선책을 제시하였다. 관측된 TSG 값은 CTD 측정값에 비하여 수온은 약 +0.3oC, 염분은 시간에 따라 약 0.06에서 +0.04 psu 편향오류를 보여주었으며, 관측오류의 요인은 취수된 해수의 TSG까지 이동시 수온 상승과 ...
  • 최상화; Dongseon Kim; Jeong Hee Shim; 민홍식 (Korea Institute of Ocean Science & Technology, 2006-12)
    We measured the fugacity of CO2 ( fCO2), temperature, salinity, nutrients and chlorophyll a in the surface water of the western North Pacific (4o30'~33o10'N, 144o20'~127o35'E) in September 2002. There were zonally several ...
  • Hong-Ryeol Shin; Sang-Chul Hwang (The Korean Society Of Oceangraphy, 2008-08)
    북동태평양 열대 해양의 해수특성과 해양구조를 파악하기 위하여 2005년 7-8월에 131.5˚W 관측선에서 관측한 CTD 자료를 분석하였다. 또한 적도 부근 태평양의 해수특성을 전반적으로 이해하기 위하여 서태평양 137-142˚E에서의 CTD 자료도 분석하여 동태평양의 분석 결과와 비교하였다. 여름철 동태평양의 표층수온은 적도반류 해역에서 가장 높았다. 이것은 28℃ 이상의 고온수가 봄과 ...
  • Jang keongang; 박종우; Jang Ho Park; 하나; Wonho Yih (Korea Institute of Ocean Science & Technology, 2009-03)
    Drastic changes in the water quality and phytoplankton community of the new Saemankeum Lakeduring the first decade following the construction of the Saemankeum Sea Wall has been considered to be unavoidable. Input of ...
  • 민홍식; JAE HUN PARK; 최아라; Young-Gyu Park; Kyoungsoon Shin; Jang Poong-Guk (Korea Institute of Ocean Science & Technology, 2011-09)
    Seasonal to inter-annual variations of water properties in the western channel of the Korea Strait are investigated using quasi-monthly hydrographic observations collected during 2006-2010. Weak vertical temperature and ...
  • Jae Chul Lee; Kim Jeong Chang (The Korean Society Of Oceangraphy, 2007-08)
    광양만의 순환을 이해하기 위하여 2006년 봄철에 수심이 가장 깊은 두 지점을 선정하여 ADCP가 장착된 모니터 링 부표 2대를 이용하여 유속관측을 하였다. 두 지점에서 공통적으로 북향류가 지배적인데, 이는 서쪽의 남향류를 동반하는 반시계 방향의 순환 이 있음을 뒷받침 하고 있다. 남쪽에서는 14m 수심에서 유향이 반전되는 2층 구조가 뚜렷하며 저층의 북향류는 바닥에 가까운 36m 수심까지 ...
  • Weol-Ae Lim; LEE SAM GEUN; 이영식; 이재영 (The Korean Society Of Oceangraphy, 2007-11)
    여름철 남해 동부해역 해양환경 변동에 따른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단기변동을 연구하기 위하여 5차례에 걸쳐 11 개 정점에서 현장관측을 실시하였다.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인 수온, 염분, 영양염과 엽록소 a를 수심별로 조사하였으며 투명도와 강수량 자료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총 63속 151종의 식물플랑크톤을 동정하였다. 이 중 규조류가 37속 92종으로 ...
  • Jae Chul Lee; KYUNG-IL CHANG (Korea Institute of Ocean Science & Technology, 2014-06)
    In an effort to investigate the structure and variability of the coastal current in the East Sea, a moored ADCP observation was conducted off Uljin from late May to mid-October 2006. Owing to the transition of season from ...
  • Chang-Woong Shin; Dong Guk Kim; Dongchull Jeon; 김응 (Korea Institute of Ocean Science & Technology, 2011-09)
    To investigate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variations of oceanic parameters in the tropical central North Pacific, oceanographic surveys were carried out in summer of 2006 and 2007. The survey periods were classified ...
  • Choi, Byoung-Ju; Yongwoo Park; Kwon Kyungman (Korea Institute of Ocean Science & Technology, 2008-12)
    In order to examine the generation mechanism of long ocean waves along the west coast of Korea and to understand the amplification process of the long ocean waves, sea level, atmospheric pressure and wind data observed ...
  • Weol-Ae Lim; 이영식; LEE SAM GEUN (The Korean Society Of Oceangraphy, 2008-11)
    2007년 남해동부해역에서 발생한 Cochlodinium polykrikoides 적조의 발생, 진행 및 소멸현상을 식물플랑크톤, 물 리ㆍ화학적 환경요소와 기상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2007년 남해동부해역에서 C. polykrikoides 적조발생은 3단 계로 특징지을 수 있다. 첫 단계는 예년에 비해 예외적으로 강하게 지속된 남풍에 의해 남해중부해역에서 이미 발 생한 C. polykrikoides ...
  • 최상화; Dongseon Kim; 김경희; 민홍식 (Korea Institute of Ocean Science & Technology, 2008-09)
    In order to study spatial variabilities and major controlling factors, we measured fugacity of CO2 (fCO2), temperature, salinity and nutrients in surface waters of the North Pacific (7o30'~33o15'N, 123o56'E~164o24'W) between ...
  • Taerim Kim; 이강호 (The Korean Society Of Oceangraphy, 2010-05)
    2008년 2월 24일 동해안에 출현한 너울은 3명의 인명 사고를 발생시켰으며 또한 일본의 서쪽 해안에서도 피해가나타났다. 최근에 그 강도가 점점 강해지는 동해의 너울에 의한 사고를 줄이기 위해서는 향후 그 발생 시간과 위치에 대한 보다 정확한 예보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동해에서의 파랑 예보의 정확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SWAN 파랑 모델을 이용하여 2008년 2월 발생한 동해의 너울을 ...
  • Weol-Ae Lim; 이영식; Jong-Gyu Park (The Korean Society Of Oceangraphy, 2009-08)
    2008년 한반도 남해동부해역에서 Cochlodinium polykrikoides 적조의 발생, 진행 및 소멸현상을 식물플랑크톤 종조성, 물리•화학적 환경요소와 기상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2008년 C. polykrikoides 적조는 7월말에 조기 발생하여 저밀도로 장기간 연안해역에 집중되어 발생하였다. 7월 초부터 동해남부해역에서 발생한 냉수대의 영향으로 외해로부터 C. polykrikoides ...

Search DSpace

Browse

My Account